[사설] 신남방벨트에서 평화와 번영 위한 새 지평 열어야

입력 2019-09-26 04:01
한국 경제가 기로에 서 있다. 안으로는 저성장이 고착화돼 가고 있고 밖으로는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면서 대내외적인 시련에 봉착한 상태다. 세계 패권을 겨냥한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은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는데다 일본의 수출규제에 따른 한·일 갈등마저 격화됨에 따라 경제적 어려움은 배가되고 있다. 게다가 미국과 북한 간의 지지부진한 북한 비핵화 협상은 외교안보 분야를 넘어 남북 경제공동체와 한반도 평화의 길을 막고 있다. 지금 이 시점에서 대한민국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

국민일보는 25일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을 향해- 미·중·일 넘어 신남방벨트로’란 주제로 ‘2019 국민미래포럼’을 갖고 한국 경제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했다. 전문가들은 미·중·일을 능가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으로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과 인도를 아우르는 신남방벨트에 주목했다. 인도네시아 등 아세안 10개국과 인도는 문재인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하는 신남방정책의 대상국이다. 신남방벨트는 거대하게 떠오르는 신흥 경제권이다. 인구 총 20억명, 평균 연령 30세의 신남방벨트는 과거 저임금 생산기지에서 세계 소비시장의 성장을 주도하는 지역으로 부상했다. 우리 경제의 성장엔진으로 적합한 곳이다. 또한 이곳 국가들은 남북한과 동시에 수교를 맺고 있어 북핵 문제가 순조롭게 풀린다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우군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축사에서 “수출도, 수입도, 투자도, 관광도, 다른 모든 교류도 특정 국가 편중은 위험 부담을 수반한다”며 “신남방정책은 우리의 절실한 과제이자 희망적 기회”라고 밝혔다.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산하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기조강연에 나선 주형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은 “신남방정책은 혁신경제 성장의 핵심 축이고 신북방정책, 한반도 신경제 지도와 유기적으로 연계돼 있다”며 “신남방 국가들과의 호혜적 협력은 우리 경제에 필수적”이라고 역설했다. 민간기업 진출 활성화, 스타트업 교류협력 등을 위한 정부 지원도 다짐했다. 주제발표와 토론에 참석한 전문가들도 신남방 국가들과의 상생의 경제협력 구축 필요성을 한목소리로 강조하고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

외교·경제 부문의 전략적 다변화가 필요한 상황에서 ‘해상 실크로드’로 일컬어지는 신남방벨트는 높은 교역 의존도를 갖는 미·중·일(2018년 42.5%)의 대안임에 틀림없다. 새로운 도약을 꿈꾸는 우리 경제에 신남방벨트가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