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화천군이 이전을 추진 중인 강원도청사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에 뛰어들었다. 최문순 화천군수와 신금철 화천군의회 의장은 25일 오전 화천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동서고속화철도 화천역 인근 군유지 33만578㎡를 도청 신축 부지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화천군은 국방개혁으로 우려되는 경제위축을 해소하고 강원도 북부권 균형발전을 위해 도청 유치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최 군수는 “해당 부지는 현 도청 청사 총면적의 약 13배가 넘는 광활한 규모로 도시계획법에 따른 개발이 당장이라도 가능한 곳”이라며 “이곳에 도청이 이전할 경우 막대한 부지매입 비용이 절감되고, 만성적 주차난 해결과 민원인들의 편의 증진, 공무원들의 쾌적한 근무여건 조성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신 군의장은 “도청의 화천군 이전은 균형발전이라는 시대적 흐름과도 부합하고, 평화지역의 균형개발, 행정업무 효율, 도민 편의 증진을 위해 가장 확실한 명분을 갖춘 최적의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화천이 유치전에 나서면서 지역 간 대립과 갈등도 우려된다. 앞서 원주시의회는 지난 16일 ‘강원도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균형 발전을 위해 도청 이전 건의안’을 채택했다. 원주시의회는 건의안에서 “도청사는 특정 지역의 전유물이 아니다. 강원도의 발전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도청을 이전해야 한다”고 했다.
원주에서 도청 이전을 요구하자 이번에는 춘천지역 정치권이 반발하고 나섰다. 자유한국당 소속 김진태 국회의원과 춘천시의원 8명은 지난 19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강원도청은 춘천에 있는 것이 당연하다”며 도청의 ‘춘천 사수’를 공식화했다. 강원도는 다른 지역 이전은 검토 대상이 아니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도 관계자는 “현 위치에 다시 신축할지 아니면 춘천의 다른 곳으로 이전할지 논의하고 있을 뿐 다른 시·군으로 도청을 이전하는 것은 검토 대상이 아니다”라고 했다.
도는 청사 건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민원인과 직원들의 편의를 위해 청사 신축을 추진 중이다. 1957년 5월 준공된 도청 본관은 3층 규모로 전체면적은 7425.65㎡이다. 청사는 행정안전부 청사면적 기준대비 1만5916㎡가 부족하다. 도청 건물은 내진 설계가 없는 구조로 지어져 지난해 실시한 내진성능 평가 결과 지진 발생 시 붕괴 위험성이 크다는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건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진단하는 정밀안전진단 평가(A∼E등급)도 C등급으로 노후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