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 달라진 영등포역 앞 영중로… 노점상 사라지고 보행로 넓어졌다

입력 2019-09-26 04:04
지저분한 노점상들이 올해 초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역 앞 영중로 옆 보행로를 가로막고 있다(위 사진). 아래 사진은 ‘사람 중심의 보행친화 거리’ 조성 이후 노점상들이 사라진 모습. 영등포구 제공

서울 영등포역 앞 영중로가 확 달라졌다. 50년간 보행로를 가로막던 70여 개 노점상이 사라지고 사람들이 걸어다닐 수 있는 공간은 넓어졌다. 새로 들어선 거리가게는 알록달록한 색으로 단장했고, 가로등엔 화사한 꽃이 내걸려 영등포의 새로운 핫플레이스로 떠오를 전망이다.

서울 영등포구(구청장 채현일)는 25일 노점상으로 몸살을 앓아온 영중로를 ‘사람 중심의 보행친화 거리’로 탈바꿈시켜 ‘길, 소통과 상생으로 다시 태어나다! 탁트인 영중로!’ 선포식을 가졌다. 선포식에서는 채 구청장을 비롯해 박원순 서울시장, 거리가게·주민 대표 등이 함께 ‘상생 선언’을 제창해 의미를 더했다.

영중로 보행환경개선사업은 영등포 구민들의 숙원사업이자 채 구청장의 핵심공약이다. 이 사업은 관 주도의 일방적인 노점상 정비가 아닌 주민, 상인, 구청이 꾸준한 소통과 타협으로 상생 방안을 모색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배경에는 채 구청장의 리더십이 있었다. 그는 지난해 취임 직후 노점 상인들과의 첫 회의를 시작으로 ‘기업형 노점은 불가, 생존형 노점과는 상생’이라는 대원칙 아래 끊임없는 대화와 설득을 통해 지난 3월 물리적 충돌 없이 노점상을 깨끗이 정비했다.

영등포구는 낡고 오래된 노점상을 26개의 거리가게로 확 줄이는 한편 판매대 유형을 먹거리, 잡화 등 제품별로 구분해 디자인을 달리하고 가로 2.1m, 세로 1.6m로 규격화했다. 거리가게는 전매, 전대, 상속이 금지되며 허가 조건 위반행위에 벌점을 부여해 연간 10점 이상 시 허가를 취소한다. 거리가게 위치를 유동인구가 많은 혼잡 구간에서 여유가 있는 영등포시장 사거리 부근으로 옮겨 유효 보도 폭이 최소 2.5m 이상으로 넓어졌다. 낡은 보도블록을 화강판석으로 바꾸고, 가로등 23개를 LED로 교체해 거리의 조도를 높였다. 가로수 52주를 26주로 정비하고 띠녹지를 조성해 울창한 나무에 가려졌던 시야를 확보했다. 아울러 버스정류장 4곳을 2곳으로 통·폐합하고 시외버스와 시내버스 정류장을 구분해 버스승차대 길이를 각각 10m와 20m로 확장했다.

영중로 보행환경 개선사업은 서울시 거리가게 허가제 시범 자치구 5개 중 첫 성공사례여서 서울시 전역에 거리가게 허가제가 확산되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채 구청장은 “영중로는 영등포 로타리 고가 철거, 대선제분 복합문화공간 등 영등포역 핵심사업과 연계해 서남권 발전을 이끄는 심장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