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은 북한 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현황과 관련해 “평안북도의 돼지가 전멸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24일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돼지고기가 있는 집이 없다는 불평이 나올 정도”라며 이같이 보고했다.
국정원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5월 ASF 발생 이후 감염된 돼지를 살처분하고 돈육 유통 전면금지, 발병지역 인원 이동 차단, 해외 수의약품 및 소독제 도입 등의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7월 이후에도 북한 내 여러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ASF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정원은 “북한 전역에 돼지열병이 상당히 확산됐다는 징후가 있다”며 “북한 당국이 돼지 축사 근무자들에 대해서는 추석 때 성묘를 금지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남북 공동방역은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국정원은 “정보를 수집하고 공동방역을 하는 차원에서 투트랙으로 남북 협조가 이뤄지기를 희망하지만 북한의 미온적 대응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통일부도 지난 18일 북측에 경기도 파주 일대에서 ASF가 발생한 사실을 통지하고 방역 협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했지만, 북측은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우리 정부는 ASF 확산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2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부실한 방역보다는 과잉 방역이 더 낫다”며 ASF 확산 방지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이 총리는 “발생지역이 모두 중점 관리지역 안에 있었다는 것은 그나마 예측 가능성 범위 내에 있었다는 점에서는 불행 중 다행이지만 앞으로 어떤 일이 있을지 모른다. 매뉴얼을 뛰어 넘는 일도 있을 수 있다”며 “조금 지나치다 싶은 정도의 방역이 낫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오후에도 ASF 관련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철저한 방역을 주문했다.
손재호 박재현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