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 등으로 한·일 경제 협력관계가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일경제인회의에 참석한 일본 경제인들이 깊은 우려감을 드러냈다.
사사키 미키오 일한경제협회장(일한산업기술협력재단 이사장)은 ‘급변하는 세계경제 속의 한·일 협력’을 주제로 2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51회 한일경제인회의에서 개회사를 통해 “이때까지 상호호혜적인, 양호했던 양국 경제관계가 위기에 처해 있는 걸 깊이 우려한다”며 “양국 간 경제, 정치외교는 자동차 바퀴와 같기 때문에 정치외교적 관계 복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절실히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미래세대를 위해 양국이 경제적 협력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우리 세대에게 주어진 사명이자 책임”이라며 “한·일 양국이 현재 정치 상태에서 탈피해 양국 국민의 이익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경제계에서 할 수 있는 일, 해야 할 일을 진지하고 진정성 있는 자세로 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사사키 회장은 양국의 경제적 협력관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 ‘3국에서의 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일 양국이 기존 자원 개발, 인프라 수출에 덧붙여 아시아 국가에서 스마트시티 등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공동 프로젝트나 분업을 통한 협력을 해야 한다”며 “국경이 무너지고 있는 기업활동 관점에서 한·일 경제협력 방법으로 앞으로 적극적으로 해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김윤 한일경제협회장도 개회사에서 “경제는 생산, 분배, 소비로 이뤄진 유기체이며 한·일 간 수평분업은 부품, 소재 장비 제품으로 연결돼 있다”며 “양국 기업은 과거가 아닌 미래를 보며, 이념이 아닌 현실을 봐야 한다. 양국은 이러한 인식의 바탕에서 더 깊이 이해하고 선의로 경쟁하며 최대 협력을 통해 공존·공영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기조연설에 나선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은 경제인들 간 협력을 강조했다. 손 회장은 “법, 정치외교로 풀기 어려운 문제도 한·일 경제인들의 실용성과 포용력, 합리성으로 풀어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