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충현교회(한규삼 목사)에서 오는 23일 개회되는 제104회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합동(총회장 이승희 목사) 총회는 교단 내부적으로 ‘안정과 회복’을 꾀하고 보수신학의 정통성을 한국교회에 천명하는 4박5일이 될 전망이다.
총회 기간 논의되는 헌의안은 총 370여개다. 이 중 최근 3년여 동안 총회의 ‘뜨거운 감자’였던 총신대 관련 건은 올해 ‘이사회 개혁’에 방점을 두고 정상화 방향을 모색한다. 개혁의 핵심은 ‘운영이사회 폐지와 재단이사회 확대’다. 운영이사회가 교단 정치에 매몰돼 제 역할을 못한다는 게 폐지론자들의 주장이다. 이와 관련해 현재 15명으로 구성된 재단이사회를 31명(일반이사 11명 개방이사 9명 교육경력이사 11명)으로 늘리고 총회실행위원회가 총대 중에서 이사를 선임키로 하자는 헌의안이 올라왔다.
반대 측에선 ‘총회 직영 신학교로서의 건학이념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 현재 임시이사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총신대의 정관개정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총회와 총신대를 잇는 연결고리 역할을 해오던 운영이사회가 폐지되면 안전장치가 사라지게 된다는 입장이 맞선다.
총회 때마다 단골 헌의안으로 상정됐던 ‘목사·장로 정년 연장’은 올해 20개 넘는 노회가 헌의하며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고령화로 인해 농어촌교회의 존립이 위협받고 있다는 점, 은퇴를 앞둔 목회자들이 정년 연장을 위해 타 교단으로 이탈하는 현상을 막아야 한다는 점 등이 주 근거다.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가 지난해 총회에서, 예장백석은 지난 3일 열린 총회에서 목사 정년을 5년 늘린 75세로 연장하기도 했다. 일반적인 직장의 정년이 60세인 것과 비교해 과도하다는 우려와 갈 곳 없는 젊은 목회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등의 목소리가 넘어야 할 산이다.
동성애와 이단 관련 헌의안도 다수 상정됐다. ‘동성애자 및 지지자, 퀴어행사 참가자에 대한 중징계 지시’ ‘국가인권위원회법 제2조 3항 중 ‘성적지향 차별 금지, 종교 차별 금지’ 조항 삭제를 정부에 청원’ ‘성소수자와 종교 차별 금지에 찬동하는 학생에 대한 총회 산하 신학교(총신대·대신대·광신대·칼빈대 등) 입학 불허 및 퇴학 조치’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대표회장 전광훈 목사)와 전광훈 대표회장의 이단성 및 이단옹호에 관한 조사, 퀴어신학의 이단성에 대한 총회결의 청원도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위헌 결정에 대한 총회 차원의 거부 결의, 총회 총무직의 대외총무 대내총무 이원화, 총회 산하 여성위원회 상설기구 설치 등의 문제도 논의를 앞두고 있다.
최기영 기자 ky710@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