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거주하는 장애인 10명 중 1명은 뇌병변장애인이다. 이들 중 43%가 혼자서 외출조차 하기 어렵고 10명 중 6명은 중증으로 언어 등 중복장애와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 전 생애에 걸쳐 전문적인 돌봄이 필요하지만 발달장애인 범주에 들지 않아 제도적인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에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뇌병변장애인과 가족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10일 발표했다. 뇌병변 장애인과 그 가족의 요구사항을 담아낸 체감형 종합대책이다.
시는 맞춤형 건강지원 강화, 생애주기별 돌봄 지원 강화, 특화 서비스 및 인프라 확충, 권익증진 및 사회참여 활성화 등 4대 분야에 총 604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우선 가족의 돌봄 부담을 덜기 위한 인프라를 대폭 확충한다. 상급학교 진학·취업이 어려운 중증중복 뇌병변장애인을 돌보는 뇌병변장애인 비전센터(가칭)가 내년 2곳을 시작으로 2023년까지 8곳에 문을 연다. 뇌병변장애인 전용 단기 거주시설도 2023년까지 3곳에 신규 조성한다. 권역별 거점 뇌병변장애인복지관을 기존 2곳(서남, 동북)에서 내년 5곳(동남, 서북, 도심 추가)으로 확대한다.
사회초년생 뇌병변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진로실험센터(Career Lab)’가 2022년에 문을 연다. 또 장애·비장애 아이들이 함께 이용하는 ‘통합 열린 놀이방’도 2023년까지 4개 권역별로 조성한다. 현재 1곳에 불과한 뇌병변장애인 전용 작업장도 2023년까지 4곳으로 늘린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장애아 부모들의 절박한 심정을 어루만지고 자녀가 당당한 시민으로 활약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