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사 선임 찬반 논란… ‘광주형 일자리’ 법인 제자리 걸음

입력 2019-09-10 19:46

‘광주형 일자리’를 위한 ㈜광주글로벌모터스 합작법인 설립이 차질을 빚고 있다. 박광태 전 광주시장의 대표이사 선임을 둘러싼 찬반 논란이 가열되면서 법인사업자 등록이라는 첫 단추조차 채우지 못한 탓이다.

참여자치21 등 시민단체들은 10일 ‘광주형 일자리 법인설립’이 지연되는 진짜 이유를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밝혔다. 이들은 “정관상 3명 이상 이사가 등기해야 법인설립이 가능한데 지난달 20일 발기인 총회에서 발표된 대표이사 외에 2대 주주인 현대자동차와 3대 주주인 광주은행이 추천한 이사가 누구인지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자동차 전문가가 아닌 박 전 시장의 대표이사 선임은 급하다고 바늘허리에 실을 매어 쓰는 것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반면 찬성여론도 만만찮다. 광주글로벌모터스에 투자를 약속한 광주·전남 소재 주주들은 9일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여론만 분열시키는 ‘대안 없는 반대’를 중단하라고 시민단체들에 촉구했다. 광주시민단체총연합도 최근 광주시가 명실상부한 산업도시로 우뚝 서도록 하기 위해 박 전 시장의 대표이사 선임을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12개 지역대학이 참여한 제18기 광주·전남지역 대학 총학생회 협의회와 광주경영자총협회도 “광주형 일자리가 차질을 빚어서는 안 된다”며 “하루빨리 법인설립을 마치고 착공에 들어갈 수 있도록 지역사회가 힘을 합쳐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광주형 일자리의 산파 역할을 해온 이병훈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은 “결혼식은 했는데 혼인신고를 할 수 없다면 불행한 일이 될 것”이라며 “우여곡절 끝에 합작법인 출범식을 마친 만큼 법인설립과 공장 착공은 순조롭게 진행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