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검찰 수사를 ‘내란음모 수사하듯 한다’고 비판하는 등 여권과 검찰의 갈등이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양측의 충돌이 고조되는 가운데 조 후보자 청문회가 실시되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이르면 7일 또는 9일에 조 후보자 임명을 강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6일 “(검찰은) 조 후보자가 법무부 장관으로 오는 게 두려운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며 “조 후보자 의혹을 수사한다는 구실로 20∼30군데를 압수수색하는 것은 내란음모 사건을 수사하거나 전국 조직폭력배를 일제 소탕하듯이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 비서실장실 소속 조모 선임행정관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검찰이) 미쳐 날뛰는 늑대마냥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을 물어뜯겠다고 하얀 거품을 물고 있다”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검찰 때리기에 가세했다. 이인영 원내대표는 확대간부회의에서 “검찰은 서초동에 있지 여의도에 있지 않다는 국민의 명령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고, 설훈 최고위원은 “검찰은 청문회나 국민 평가에 영향을 끼치려는 행위를 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당 일각에서는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한 책임론까지 제기됐다. 민주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검찰의 부적절한 처신에 대해 윤 검찰총장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 당내 의견이 있다”며 “검찰총장을 교체해야 한다고 얘기하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여권은 특히 검찰의 수사를 ‘항명’ ‘쿠데타’ ‘검란(檢亂)’ 등으로 묘사하는 등 정권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조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도 검찰을 향한 비판이 쏟아졌다. 검찰 출신인 금태섭 민주당 의원은 “인사청문회를 불과 며칠 앞두고 강제수사에 나선 검찰의 행태는 비판받아 마땅하다”며 “수사권과 기소권을 독점한 권력기관이 마음대로 칼을 휘두르는 형국”이라고 말했다. 같은 당 이철희 의원은 “검찰과 본인 외에는 안 갖고 있다는 (조 후보자 딸의) 생활기록부가 돌아다니고 있다. 급기야 오늘은 (수사를 위해) 포렌식한 자료가 청문회장을 돌아다닌다. 포렌식 자료는 검찰 말고 누가 갖고 있느냐”고 따졌다. 이 의원은 현 검찰총장을 ‘제왕적 검찰총장’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검찰은 즉각 반발했다. 검찰 관계자는 “검찰 압수물 포렌식 자료가 청문회장에 돌아다닌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해당 언론이 관련 대학 및 단체 등을 상대로 자체적으로 취재한 것이고, 검찰 자료가 유출된 사실은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검찰은 청와대의 ‘내란음모’ 발언에도 매우 불쾌해 하고 있다.
청와대와 검찰 간 갈등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대안정치연대 소속 박지원 의원은 조 후보자 청문회에서 “청와대와 국무총리, 장관이 일제히 나서서 검찰과 싸우면 이게 나라냐”며 “문 대통령의 리더십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조 후보자는 “양측이 자제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동남아 순방을 마치고 이날 오후 귀국한 문 대통령은 조 후보자 관련 사항을 보고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이 요청한 조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재송부 기한은 이날 자정이어서 7일부터 임명이 가능하다. 당정청 수뇌부의 조 후보자 임명 의지가 워낙 강해 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문 대통령이 조 후보자 임명을 강행할 것이란 관측이 많다.
신재희 박세환 허경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