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카드 남았나? 결정적 ‘한방’ 없으면 맹탕 청문회 후폭풍

입력 2019-09-06 04:04

문재인 대통령이 요구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재송부 기한 마지막 날인 6일 국회에서 ‘조국 대전(大戰)’이 치러진다. 최대 관전포인트는 자유한국당 등 야당이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고꾸라뜨릴 결정적인 ‘한 방’을 갖고 있느냐는 것이다. 한국당은 최근 불거진 조 후보자 배우자의 동양대 청탁과 여권 인사들의 동양대 압박 의혹을 중심으로 도덕성 문제를 집중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여당에선 한국당이 가진 패를 일찍이 다 내놓았을 것이란 의견이 많다.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은 5일 “한국당이 시간을 계속 끄는 과정에서 (의혹은) 이미 나올 만큼 다 나왔다”며 “당일에 여론을 완전히 뒤집을 만한 새로운 뉴스가 나오지 않는 이상 특별할 게 없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결정적 한 방이 없으면 한국당에 후폭풍이 상당할 전망이다. 이미 나경원 원내대표에 대한 당내 반발이 거세다. 여야가 당초 합의했던 ‘이틀 청문회’가 무산된 데 이어 조 후보자 가족들의 증인 출석이 불발돼 ‘맹탕 청문회’가 될 우려가 많아서다. 청문회에서 한국당의 공격이 성공한다면 나 원내대표의 책임론은 해소될 테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책임론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게 분명하다.

조 후보자가 야당의 공격을 어떻게 막아낼지도 관심사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지난 2일 조 후보자의 국회 기자간담회에서는 꼬리잡기 질문이나 추궁을 할 수 없었지만, 청문위원들은 집요하게 파고들 것이기 때문에 다른 수준의 답변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간담회 이후 등장한 딸의 동양대 총장 표창장 위조 의혹도 야당이 노리는 결정적인 공격 포인트다. 동양대 교수인 조 후보자 부인이 표창장을 위조한 게 맞다면 기존 특혜 의혹에 더해 임명 반대 목소리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표창장 의혹의 핵심 인물 중 하나인 최성해 동양대 총장은 증인에서 제외됐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노환중 부산의료원장과 장영표 단국대 의대 교수 등 11명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조 후보자 딸의 고교 시절 의학 논문 제1저자 등재와 관련해 장 교수가, 장학금과 관련해서는 노 원장과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신모 관악회 이사장 등이 포함됐다.

사모펀드와 관련해서는 펀드 운용사 코링크프라이빗에쿼티(PE)와 투자처인 웰스씨앤티, WFM 관계자들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웅동학원 의혹에 대해서는 김형갑 웅동학원 이사와 안용배 창강애드 이사가 포함됐다. 다만 인사청문회법에 따라 국회가 증인 출석을 요구하려면 청문회 5일 전에 출석요구서를 보내야 했기 때문에 이들의 출석을 강제할 수는 없다.

조 후보자는 서울 종로구 인사청문회준비단 사무실에 출근하면서 “청문회까지 시간이 많이 부족하지만, 기자간담회 이후 언론에서 새로 제기한 의혹도 소명하겠다”고 했다. 이어 “국민의 대표 앞에서 아는 것은 아는 대로 다 말씀드리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신재희 심희정 허경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