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국내 기업 노동자의 성별·학력 등에 따른 임금 분포가 매년 공개된다. 임금 분포가 공개되면 업종별 평균 임금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누구나 알 수 있게 된다.
정부와 여당이 5일 당정 협의를 거쳐 발표한 ‘공정경제 성과 조기 창출 방안’에는 ‘기업특성별 임금분포현황 공표’가 포함됐다. 주무 부처인 고용노동부는 기업 규모와 업종 등의 범주를 토대로 노동자 성별, 연령, 학력, 근속연수 등의 기준을 적용해 임금 분포를 내고 평균값, 중간값, 상위 25% 임금, 75% 임금 등을 임금정보시스템에 공표할 계획이다. 고용부는 올해의 경우 12월에 임금분포현황을 공표하고 내년부터는 하반기에 정기적으로 공표할 방침이다. 다만 개별 기업의 임금 정보는 공개하지 않는다.
임금분포현황은 고용부가 해마다 실시하는 ‘고용 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출할 것으로 전해졌다. 고용 형태별 근로실태조사는 전국의 1인 이상 사업체 표본을 대상으로 한다.
임금분포현황이 공개되면 노동자는 자신이 일하는 직종의 평균 임금이 어느 수준인지 알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자신이 평균 임금보다 적게 받는지 많이 받는지 가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고용부는 기업특성별 임금분포현황이 공개되면 임금 격차가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평균보다 낮은 임금을 주는 기업에서는 노동자의 임금 인상 요구가 강해지고 높은 임금을 주는 기업에서는 노동자가 임금 인상 요구를 자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다만 경영계는 이에 대해 업종 평균보다 임금 수준이 낮은 기업에 속한 노동자의 위화감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