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화당이 5일 소상공인연합회와 연대를 선언하며 분당 이후 첫 발걸음을 내딛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가칭 ‘소상공인 국민행동’을 오는 10월 말까지 창당하기로 하고 이후 평화당과 ‘정치 연대체’로 발전시키기로 했다. 정동영 평화당 대표는 “정치사에서 지역거점을 가진 정당과 계층 기반을 가진 정당이 손을 잡고 힘을 합친 것은 정치사에 처음 있는 일”이라고 의미를 평가했다.
평화당과 소상공인연합회는 5일 국회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한 정책공조 및 연대’를 위한 가칭 ‘소상공인 국민행동 창당준비위원회 구성 및 정당 창당’ 계획을 발표했다. 소상공인연합회와 평화당의 관계를 정치 연대체로 발전시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정 대표는 “소상공인들의 합리적 요구가 외면당해온 현실을 기존 정치권의 일원으로 깊이 자성한다”면서 “소상공인들의 정치참여 선언에 전적으로 동의하며 굳건히 연대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연대는 선거제 개혁과 맞물려 내년 4월 총선의 태풍의 눈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소상공인연합회와의 연대를 통해 여야 5당이 약속했음에도 제정되지 않은 소상공인기본법을 통과시킬 계획이다. 소상공인기본법은 소상공인을 경제주체로 인정하고 이들을 위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한 법이다. 현재 국회에 5건의 소상공인기본법 법안이 계류 중이지만 지난 1월 이후 입법에 진전이 없는 상태다. 정 대표는 “당 강령 핵심조항에는 소상공인들의 생존권과 생활권을 보호하고 확대하는 데 총력을 다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며 “이번 정기국회에서 잠자는 소상공인기본법을 흔들어 깨우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장은 평화당과의 협력을 통해 제도권에서 외면받는 소상공인의 현실을 극복하겠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소상공인을 외면하는 기성 정치권에 더 이상 기대지 않고 소상공인들이 전면에 나서 참된 민생정치를 직접 실천하겠다는 외침”이라며 “대기업과 대기업 노동자들을 대변하는 정당은 있지만 소상공인을 대변하는 정당이 없는 상황에서 국민정당을 건설해 나가겠다”고 신당의 정체성을 설명했다. 또 “정 대표의 진심을 믿고 소상공인 정치세력화의 외연 확대를 위한 공동연대 활동을 진행해가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소상공인연합회는 중소벤처기업부 정관상 모든 정치 관여가 금지돼 있어 정관 수정이 선행돼야 한다. 이에 대해 연합회 측은 “중소벤처기업부에 정관 수정 승인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