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투표방식은 처음부터 불공정한 게임입니다.”
국방부가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최종후보지를 주민투표로 선정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지자, 후보지인 경북 의성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이 지역 경북도의원들은 국방부가 당초 방침을 고집할 경우 자칫 공항이전 자체가 무산될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최근 열린 경북도의회 통합신공항이전특위(위원장 박창석)에서 경북도는 통합신공항이전 후보지를 주민투표 찬성률로 선정하기로 한 국방부의 내부 방침을 공식 확인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국방부 방침은 ‘주민투표 찬성률로 이전지를 결정한다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지난 2005년 선정된 경주방폐장 역시 주민투표로 이뤄진 만큼 이 방식 말고는 현재로선 뾰죽한 대안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의성지역은 주민투표 방식을 놓고 반발하고 있다. 현재 알려진 국방부의 방침은 단독후보지인 군위군은 주민찬성률 100%를 반영하는 반면, 공동후보지인 의성군은 찬성률 100%를 반영하지 않는 방식이 유력시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의성출신 경북도의원들은 “출발선이 처음부터 불공정한 게임을 국방부가 계속 고집할 경우 공항이전 자체가 아예 무산될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김수문 경북도의원은 “현재 알려진 국방부의 일방통행식 투표방식대로 간다면 공항이전은 무산될 가능성이 99%”라며 “이렇게 될 경우 공항이전은 기약이 없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의성군은 이전절차 중단가처분신청이 가능한지 법적 검토에 나섰고 경북도는 의성군의 진의를 파악하는 한편, 별도의 중재안 마련에도 고민 중이다. 배용수 경북도 도시건설국장은 “군위군과 의성군이 원만하게 합의할 경우 통합공항은 어디로 가든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양 지역이 합의점을 찾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이전을 위해 군위군은 우보면을, 의성군은 비안면과 군위 소보면을 각각 이전 후보지로 정하고 치열한 유치전을 펼치고 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