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매각을 위한 예비입찰이 3일 마감됐다. 애경그룹과 미래에셋대우-HDC현대산업개발, 사모펀드 KCGI 등 3곳의 참여가 확정적인 가운데 잠재적 후보군으로 지목돼 왔던 SK, 한화, GS 등은 일단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금호산업과 매각 주간사인 크레디트스위스(CS)증권은 이날 오후 2시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예비입찰을 마감했다.
금호산업과 주간사 모두 예비입찰 참여 기업에 대한 비공개 원칙에 따라 실제 입찰 기업 및 후보군 윤곽에 대해 함구하고 있다. 재계 및 업계에 따르면 인수전에 참여한 기업은 초기부터 관심을 표명해 온 애경그룹과 사모펀드 KCGI, 그리고 미래에셋대우와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 등으로 압축된다. 증권업계 일각에선 이들 외에 사모펀드 2곳도 입찰에 참여, 5파전 구도를 형성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저비용항공사(LCC) 업계 1위 제주항공을 보유한 애경그룹은 보유 항공사와의 시너지, 항공산업 경쟁력 등을 고려해 인수전에 참여했다.
한진칼의 2대 주주이자 대한항공에 대한 주주권을 필두로 항공산업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드러냈던 KCGI는 재무적투자자(FI)로 인수전에 참여할 것을 공언한 상황이다. 어떤 기업과 손을 잡았는지에 대해서는 공개되지 않았다.
후발주자로 인수전 참여 의사를 밝힌 미래에셋대우는 FI로서 전략적투자자(SI) 현대산업개발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예비입찰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산업개발은 면세점과 호텔 사업 등에서 항공사 인수 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후보군으로 거론됐지만 “인수 의사가 없다”고 선을 그었던 GS, SK, 한화, CJ 등 주요 대기업들은 예비입찰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주간사 측이 입찰 참여 기업을 공개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KCGI의 SI, 또는 공개되지 않은 사모펀드 2곳이 구성한 별도 컨소시엄 등을 통해 이들 또는 다른 대기업이 적격후보 공개와 함께 수면 위로 부상할 가능성은 남아 있다.
금호산업과 CS증권은 약 일주일가량 숏리스트(적격후보)를 추리고 1개월가량 기업 실사를 거쳐 우선인수협상 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이후 주식매매계약 체결 등 구체적 매각 작업을 통해 연내 협상 및 매각 절차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아시아나항공의 매각가는 1조5000억~2조원 안팎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