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과 암호자산의 미래를 진단하는 자리가 열린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이들 기술을 직간접적으로 다루는 정·관·산업계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블록체인 기술을 현재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앞으로 어떻게 발전시켜야 할지 등을 모색한다.
‘2019 미래 블록체인·암호자산 포럼’이 오는 5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개최된다. 국민일보와 국회 정무위원회 민병두 위원장, 암호자산거래소인 ‘베론’이 함께 마련했다.
블록체인은 쉽게 말해 데이터 분산 처리 기술이다.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공동으로 거래내역 등의 데이터를 검증·기록·분산·저장할 수 있다. 블록을 체인으로 묶은 형태이기 때문에 블록체인이란 명칭이 붙었다. 암호자산은 암호화폐나 가상화폐, 디지털 통화 등을 통칭하는 용어다.
포럼은 2개 세션(강연, 토론)으로 나눠 진행된다. 제1세션에선 암호자산 부문과 공공부문, 금융부문에서 활용 중인 ‘블록체인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다룬다. 다카하시 요시미 베론 대표이사가 ‘암호자산을 이용한 송·환전 시스템’을 주제로 발제한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해외송금 시스템의 가능성을 제안할 예정이다. 다카하시 대표는 벤처기업 투자전문업체인 한국 SBI인베스트먼트 대표, 소프트뱅크파이낸스 한국 금융 전략 최고운영책임자를 지냈다.
유재수 부산광역시 경제부시장은 ‘부산시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의 미래’를 주제발표한다. 유 부시장은 세계은행(WB) 금융시장전문가,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 등을 거쳤다. 장현기 신한은행 디지털R&D센터 본부장은 ‘신한은행 블록체인 추진 전략 및 적용사례’를 소개한다. 장 본부장은 IBM 유비쿼터스 컴퓨팅연구소 실장 등을 역임했다.
토론이 펼쳐지는 제2세션에선 블록체인 관련 업계 전문가의 현장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블록체인 및 암호자산이 현재 시장의 어떤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지’ ‘기존 블록체인과 암호자산이 지닌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 등을 놓고 다양한 논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비밀계약 및 암호화 토큰 플랫폼인 ‘큐라스(Quras)’의 김홍덕 한국 매니저, 금융권 등에 블록체인 관련 서비스를 공급하는 ‘그라운드 X’의 이종건 박사, 다국적 대형법무법인 ‘오멜버니&마이어스’의 김용상 국제변호사 등이 패널로 나선다. 진행은 개방형 금융플랫폼인 ‘메이커다오’의 남두완 대표가 맡는다.
민병두 정무위원장은 “자산의 디지털화는 암호자산이든 중앙은행의 법화(법정통화)든 막을 수 없는 추세”라면서 “이번 포럼이 설득력 있는 입법 근거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블록체인 시장 규모는 올해 846억원(추정치)에서 2022년 3562억원으로 4배 넘게 성장할 것으로 추산된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