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기영 “고등학생이 2주 인턴으로 ‘논문 제1저자’ 일반적인 건 아냐”

입력 2019-09-03 04:06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답변하고 있다. 최종학 선임기자

국회에서 2일 열린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딸의 논문 제1저자 등재 의혹 관련 답변을 집중적으로 요구했다. 과기정통부 장관직이 국가 R&D를 총괄하는 자리인 만큼 연구윤리에 대한 지적을 쏟아낸 것이다.

윤상직 한국당 의원은 “고등학교 2학년생이 2주 인턴으로 제1저자로 올라간 것을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최 후보자는 “다른 후보자에 대해 얘기하긴 어렵다”면서도 “규정이 있는데 규정을 지키지 않았다면 문제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같은 당 최연혜 의원은 “후보자의 연구실에서 SCI 논문 중 2주 안에 쓴 사례가 있느냐, 고등학생 인턴이 있었느냐”고 추궁했다. 최 후보자는 “제 분야는 그렇게 쓰기가 어렵고 제 연구실에는 고등학생 인턴이 없었다”고 답했다. 박대출 의원 역시 ‘SCI급 논문을 고등학생이 2주간 영문 번역해 제1저자로 등록된 사례가 있느냐’며 공세를 이어갔고, 최 후보자는 “일반적인 건 아니다. 연구윤리는 굉장히 중요한 문제로 철저히 지켜져야 한다”고 답변했다.

일본의 소재·부품 수출 규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묻는 질의도 이어졌다. 최 후보자는 “국내 기술이 일본보다 평균적으로 2~3년 정도 뒤처져 있다”며 “일본 수출규제 사태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고 연구 성과가 산업 발전으로 이어지는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가 국회 정무위 인사청문회에서 증인 선서하고 있는 모습. 최종학 선임기자

같은 날 진행된 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에서는 최근 일본 수출규제 등으로 공정경제가 후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조 후보자는 이에 대해 “경제위기 때문에 공정경제 정책이 후퇴할 일은 없다. 경제 상황과 무관하게 엄정한 법 집행은 계속돼야 한다”고 답했다. 그는 “우리나라에 아직 소비자 관련 분야에 집단소송제가 없고 단체소송도 활성화되지 않아서 글로벌 기업들이 자발적 리콜 등 자정노력을 안 하고 있다”며 “외국계 기업들의 불공정행위도 국내 기업과 동등하게 공정거래법을 적용하겠다”고 덧붙였다. 조 후보자는 “공정위가 시장경제의 파수꾼 역할을 수행하고 공정경제를 흔들림 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성훈 이종선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