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여러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은 조 후보자 가족의 거액 사모펀드와 연관된 각종 업체들의 공공분야 사업 참여·수주 배경을 살피고 있다. 검찰이 조 후보자 강제수사에 착수할 때 스마트시티 사업을 담당하는 국토교통부 부서를 압수수색한 일도 뒤늦게 드러났다. 이 압수수색은 조 후보자 사모펀드의 투자를 받은 가로등 점멸기 생산업체 웰스씨앤티가 지방자치단체의 관급공사를 대거 수주, 성장한 배경을 살피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많다.
조 후보자 일가 사모펀드를 둘러싼 의혹은 서울시의 공공 프로젝트 사업으로도 번지고 있다. 사모펀드 운용사인 코링크프라이빗에쿼티(PE)와 연결된 피앤피플러스컨소시엄이 조 후보자 투자 직후 서울지하철 공공 와이파이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기 때문이다. 이 컨소시엄의 주주 명단에는 여권 전현직 의원 보좌관들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웰스씨앤티 역시 서울시의 사업 발표 이전부터 ‘지하철 사업’을 준비한 정황이 있다고 한다.
2일 국토부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고형곤)는 정보통신기술(ICT)로 도시 삶의 질을 개선한다는 ‘스마트시티’ 사업을 주관하는 도시경제과를 지난달 27일 압수수색,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앞서 정부의 스마트시티 사업 강화와 웰스씨앤티의 매출 성장이 맞물리면서 정치권에서는 조 후보자의 영향력이 개입된 게 아니냐는 의혹이 많았다.
검찰이 이 과정을 들여다보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웰스씨앤티가 부산·세종의 스마트시티 사업 특혜를 받은 정황이 포착됐을 것이란 해석도 커지고 있다. 다만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압수수색을 일종의 해프닝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스마트시티와 관련해 예산이 집행된 것이 없을 뿐더러 국가 시범도시 자체가 ‘설계도를 그리는’ 단계라서 가로등이 들어갈지 말지 결정된 것도 아니었다”고 말했다.
코링크PE와 투자 위임 계약을 맺고 서울시 지하철 와이파이 사업에 의지를 보였던 피앤피플러스컨소시엄의 경우 여권 인사들의 개입 때문에 의혹을 받고 있다. 서울교통공사는 2017년 9월 15일 100점 만점에 95.9점을 부여, 서울지하철 통신서비스 수준 향상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피앤피플러스를 선정했었다. 자유한국당 유민봉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3월 기준 이 컨소시엄의 주주 명단에는 여권 전현직 의원 보좌관 2명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피앤피플러스는 기술조건 미달 등으로 지난 4월 서울교통공사로부터 계약이 해지됐다. 하지만 야당 측은 협상 대상으로 선정되는 과정까지 조 후보자 측의 영향력이 있었을 것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웰스씨앤티가 대관(對官) 업무를 포함해 ‘지하철 관련 사업’을 준비해온 점, 코링크PE가 출범 직후 피앤피플러스와 투자 유치 위임 계약을 맺은 점 등이 석연찮다는 것이다.
코링크PE의 ‘실질 오너’라는 의구심을 받아온 조 후보자의 5촌 조카 조모씨가 검찰 수사를 앞두고 도피성 출국을 한 일은 야당이 제기하는 의혹을 증폭시킨다. 야당은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직무 범위가 넓었던 조 후보자의 영향력 행사 여부까지 규명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검찰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지하철 통신서비스 향상 사업 자료를 확보하지는 않은 상태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서울시의 사업 기획과 방침에 의해 시행만 한 것”이라며 “피앤피플러스가 어떤 업체인지는 잘 모른다”고 말했다.
이경원 구승은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