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양시가 서울시 소유 난지물재생센터의 지하화 또는 영구폐쇄를 촉구하고 나서자, 서울시는 난지물재생센터 지하화 사업이 지연된 건 고양시 책임이라고 맞받아쳤다.
2일 고양시 등에 따르면 지난 19일부터 고양시 대덕동 주민들은 난지물재생센터로 진입하는 분뇨·음식물 폐수 운반차량을 저지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서울시는 서울 내 소재한 기피시설의 개선에만 급급하고, 고양시에 있는 서울시 소유 기피시설은 사실상 방치한 상태”라며 “이번 사태의 책임은 서울시에 있다. 더 이상 장기계획을 운운하며 고양시민을 우롱하지 말고 즉각 기피시설 현대화 및 전면 지하화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측은 “고양시의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이 변경되지 않아 사업이 중단된 것”이라며 “서울시는 성실히 사업을 진행해왔다”고 반박했다. 난지물재생센터 지하화 사업이 지연된 건 고양시 책임이라는 것이다.
이어 서울시는 “난지물재생센터의 지하화 사업을 위해선 먼저 악취저감 및 주민친화시설을 설치해야 하는데 해당시설 설치에 앞서 필요한 게 고양시의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변경”이라며 “2016년부터 주민친화시설 설치공사를 추진해왔지만 고양시의 개발제한구역 걸림돌에 막혀 지난해 11월 시설 공사를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난지물재생센터는 인근 자유로를 달리는 차량에서도 악취가 느껴질 만큼 시설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난지물재생센터 내에는 서대문·은평·마포·종로·영등포 등 서울시 5개 구가 함께 운영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도 운영되고 있다.
최근 이 자치구들이 사용할 은평 광역자원순환센터까지 고양시나 다름없는 지축·삼송지구 인근에 계획되면서 갈등의 골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고양시 관계자는 “서울시는 2012년 기피시설 문제를 해결을 위해 고양시와 상생발전 공동합의문을 체결했지만 8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서울시는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난지물재생센터를 지하화하겠다’는 추상적 계획만 제시하고 세부계획은 수립하지 않았다“며 ”고 했다.
고양시 주민들은 “서울시 소유 기피시설은 5곳으로 지난 3~40년간 주민들에게 큰 고통을 주는 건 물론 도시의 정상적 발전까지 가로막아 왔다”며 “서울시는 주민지원금과 같은 미봉책으로 일관하며 주민 갈등만 유발하고 있다. 구청에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박원순 서울시장의 통 큰 지도력을 보여 달라”고 주장했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