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출생아 수가 16만명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최저 기록을 또 갈아치웠다. 지난 6월 출생아 수 역시 역대 최소다. 결혼을 하지 않아 출산도 덩달아 하지 않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에는 합계출산율이 0명대로 접어들었다. 마카오를 제외하면 전 세계에서 합계출산율 1.0명 미만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통계청은 28일 ‘2019년 6월 인구동향’을 발표하고 올 상반기 출생아 수가 15만852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7만1800명)보다 7.7% 감소했다고 밝혔다. 1981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최소치다. 지난 6월 출생아 수는 2만4051명으로 전년 동월(2만6357명) 대비 8.7% 줄었다.
출생아 수 감소세는 3년7개월째 멈추지 않고 이어지는 중이다. 이 추세대로라면 올해 출생아 수는 처음으로 30만명을 넘기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까지 나온다. 신생아 울음소리가 그친 배경에는 ‘혼인 건수 감소’가 있다. 지난 6월 혼인 건수는 1만7946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9% 줄었다. 이 수치도 통계 작성 이후 최저다. 통계청 관계자는 “혼인이 늘어야 출생아 수도 늘어날 수 있는데, 혼인이 7년 연속 줄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98명으로 1.0명 미만으로 추락했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70년 이후 바닥이다. 합계출산율은 가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다.
세계적으로 합계출산율이 1.0명도 되지 않는 나라는 드물다. 대표적 저출산 국가인 대만은 1.06명, 홍콩 1.07명, 싱가포르 1.14명, 일본 1.42명이다. 마카오(0.92명)만 한국보다 낮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은 1.68명이다. 인구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려면 합계출산율이 2.1명 이상이어야 한다.
세종=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