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천안아산 KTX역세권 연구·개발(R&D) 집적지구를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육성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갔다. 도는 ‘충남 천안아산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요청서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제출했다고 27일 밝혔다.
요청서에는 천안시 풍세면에 위치한 국내유일의 자동차부품 전문 연구기관인 ‘자동차부품연구원’을 기술핵심기관으로 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에 특화된 강소특구를 육성하는 내용이 담겼다. 여기에 R&D집적지구(천안 불당·아산 탕정)와 천안 풍세지구(풍세일반 산단·천안 제6산단)를 배후공간으로 조성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특화분야는 충남의 대표 주력업종인 반도체·디스플레이·자동차부품 산업이 융합된 ‘IFCAr’ 콘셉트의 스마트 모빌리티(Smart Mobility)로 정했다.
‘IFCAr’는 충남강소특구의 4대 중점 육성분야인 차량용 디스플레이·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 수소연료전지차(Fuel Cell Electric Vehicle),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자율주행(Autonomous Car)의 앞 글자를 조합한 것이다. 이는 양방향 연결성(Connected)과 자율주행(Autonomous), 차량공유 및 서비스(Shared & Service), 완전 자동화(Electric)의 첫글자를 딴 미래 자동차 산업혁명, 즉 ‘케이스(CASE) 혁명’과도 일맥상통하는 내용이다.
강소특구의 배후공간은 크게 3개의 기능으로 나뉜다. 천안 불당 R&D거점지구는 연구개발 및 창업을, 아산 탕정 기업집적지구는 기업유치 및 주거를, 천안 풍세 산업지구는 기술사업화 실증을 핵심 기능으로 집중 육성하게 된다.
도는 오는 11월 과기정통부 심사를 시작으로 전문가 위원회·특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내년 상반기쯤 최종 결정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병락 도 미래산업국장은 “그동안 열심히 준비해 온 만큼 앞으로 예정된 서면 심사, 현장조사 평가, 종합발표 평가도 철저히 준비할 것”이라며 “계획대로 강소특구를 지정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강소연구개발특구는 자생·자족적인 지역 혁신플랫폼 구축을 위해 지난해 새로 도입한 연구개발(R&D) 특구 모델이다. 강소특구로 지정될 경우 연구소 기업·첨단기술 기업 세제 감면, 인프라 구축 및 연구개발 사업비 지원, 개발행위 의제처리, 각종 개발부담금 감면 등의 혜택을 받게 된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