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규모로 실시된 ‘동해 영토수호훈련’이 26일 종료됐다. 독도방어훈련에서 처음으로 이름을 바꿔 실시된 이번 훈련은 전날 육·해·공군 전력이 대거 참가한 데 이어 이튿날은 해경 중심으로 진행됐다. 독도에 상륙하려는 일본 극우단체 등 민간선박 접근을 차단하는 가상의 시나리오에 따라 이를 저지하는 훈련이 이뤄졌다.
훈련에는 해경의 1500t급 대형 경비함정 3척과 500t급 함정 1척, 해경 초계기 1대, 헬기 2대, 해군 함정 5척 등이 참가했다. 해경 특공대원 4명도 투입됐다. 전날 1일차 훈련 때는 해군 제7기동전단 소속 이지스함인 세종대왕함(7600t급) 등 해군·해경 함정 10여척과 공군 전투기 F-15K를 포함해 사상 최대 규모 전력이 투입됐다.
전날엔 해병대 신속기동부대와 해군 특수전전단(UDT), 육군 특전사 요원 등 병력 100여명이 울릉도나 독도에 상륙하는 훈련이 전개됐지만 이날은 해상기동훈련에 초점이 맞춰졌다. 군 병력이 독도에 상륙하는 훈련은 실시되지 않았다. 군 관계자는 “2일차 훈련은 비군사적 위협이 발생한 상황을 가정한 훈련이기 때문에 공군과 육군 전력이 빠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군은 매년 두 차례 독도방어훈련을 실시했다. 이번에 실시한 훈련은 6월로 예정됐다가 미뤄진 것이었다.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 등을 감안해 미루다가 광복절 이전인 지난 12~13일 실시하려 했는데 태풍의 영향으로 다시 일정을 조정했다.
후반기 독도방어훈련의 최대 변수는 한·일 관계 변화 여부다. 한·일 갈등 상황이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따라 훈련 실시 시점과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 이번의 대규모 훈련에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 결정과 맞물려 대일 압박 수위를 높이기 위한 포석이 깔려 있다.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안보상 수출심사 우대국가)에서 제외하는 수출무역관리령 개정안이 시행되는 28일 이후 양국 갈등이 더 커질 경우 후반기 훈련 규모를 축소할 가능성은 떨어진다.
일각에서는 한·일 관계가 최악의 위기 국면을 맞을 경우 후반기 독도방어훈련은 10월 25일 ‘독도의 날’ 전후로 실시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독도방어훈련은 6월 18∼19일, 12월 13∼14일 실시됐다. 해군 관계자는 “다음 훈련 명칭은 훈련 규모와 성격 등 상황을 고려해 결정할 것”이라며 “아직 다음 훈련 일정은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