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 주택 매매 36% ‘쑥 ’

입력 2019-08-23 04:07

지난달 서울의 주택 매매거래량이 전월 대비 36.3% 늘었다. 지난해 10월 이후 9개월 만에 전월 대비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서울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 거래량이 심상치 않다. 전월 대비 1.5배 수준으로 급증했다. 최근 서울 집값이 오름세로 돌아서면서 거래량도 함께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분양가상한제 시행령 개정을 예고하면서 부동산 추가 대책을 내놓을 수 있다는 우려감도 반영됐다. 일부에선 정부의 부동산대책 약발이 떨어졌다고 지적한다.

국토교통부는 22일 지난달 서울의 주택 매매거래량이 1만2256건으로 6월보다 36.3% 늘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지난해부터 펼친 강력한 부동산정책 여파로 거래가 크게 위축된 상황이 바닥에 깔려 있어 상승폭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설명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부동산시장 하향 안정세가 이어지면서 전체 거래량이 크게 줄어든 상태다. 최근 5년간 7월의 평균 거래량(8만9128건)과 비교하면 지난달 서울의 거래량이 유독 많은 건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월 대비 상승폭을 보면 ‘기저효과’라고 안심할 수만은 없다. 1만2256건의 서울 주택 매매거래 가운데 52%(6398건)가 강남에서 이뤄졌다. 강남 매매거래 중 41%(2655건)는 강남 4구에서 진행됐다. 강남 4구의 지난달 매매거래량은 전년 동월 대비 67.1% 상승했고, 전월 대비로도 48.2% 늘었다.

서울 강남 집값이 상승세로 전환하면서 거래량도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8월 셋째 주 기준 강남 4구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02% 상승했다. 감정원은 “인기 지역 신축과 역세권 및 저평가 단지 가격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추가 대책’이라는 시장 불확실성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달부터 국토부가 분양가상한제 확대 방안을 발표한다고 예고하면서 시장을 중심으로 부동산 추가 대책이 함께 나올 것이라는 관측이 퍼졌었다. 추가 대책이 나오기 전 거래를 끝내겠다는 심리가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일부에선 부동산대책 실효성이 다한 것 아니냐고 우려한다. 9·13 대책을 발표한 지 만 1년이 돼가면서 시장 ‘적응기’는 지났다는 진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의 집값 상승세와 거래량 상승폭으로는 추가 대책을 낼 만큼의 과열 양상은 아니라고 판단한다. 시장 상황을 자세히 살펴보고 과열 징후가 나타나면 안정세를 유지할 추가 대책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