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호 모드 여당 “헛소문” vs 칼 가는 야당 “특검 불사”

입력 2019-08-21 04:06
정용기(왼쪽) 자유한국당 정책위의장이 20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과거 글이 적힌 종이를 들어보이며 “조 후보자 가족은 손 안 대고 코 푸는 식의 수상한 가족”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오른쪽은 나경원 원내대표. 김지훈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지키기에 총력을 쏟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조국 특검’도 불사하겠다며 총공세에 나섰다. 여당은 밀리면 안 된다는 절박감에 계속 엄호하고 있지만, 조 후보자 관련 의혹이 더 나오거나 국민정서와의 괴리가 더 커진다면 역풍을 맞을 가능성도 있다.

딸 부정입학 의혹 등 조 후보자를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 20일 민주당은 “근거 없는 헛소문”이라고 일축했다. 이재정 민주당 대변인은 YTN 라디오에 출연해 “이토록 저항이 강하다는 것은 조 후보자의 적합성을 강설(설명)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변인은 “지금까지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들은 조 후보자가 장관이 될 자격이 없는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당 원내대표단과 상임위원회 간사들도 일제히 방어에 나섰다. 이인영 원내대표는 연석회의에서 “한국당이 인사청문회를 정쟁의 장으로 완전히 타락시켰다. 청문회는 합법적인 인권침해의 장이 아니라는 것을 경고한다”며 “이참에 사법개혁의 상징인 조 후보자의 이미지를 실추시키겠다는 불순한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일갈했다. 조정식 정책위의장도 “근거 없는 헛소문과 가짜뉴스로 사법개혁을 좌초시키겠다는 정치 꼼수”라고 비판했다. 법제사법위원회 간사인 송기헌 의원은 “보수 야권은 조 후보자가 그렇게 무서운가보다. 사법개혁이 두려운 건지 대대적 공세를 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인사청문회 일정을 미루며 조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촉구하고 있는 보수 야당은 ‘특검’ 카드까지 꺼내들었다. 김진태 한국당 의원이 전날 조 후보자 일가를 검찰에 고발하며 “검찰 수사가 시간 끌기로 나온다면 특검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한 데 이어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도 tbs 라디오에 출연해 “사퇴를 안 하고 (임명을) 강행하게 된다면 아마 특검 논의까지 나올 것 같다”고 말했다.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앞뒤 다른 조 후보자는 애초 법무부 장관, 민정수석은커녕 공직자로서 그 모든 기본적 수준에 미달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최소한의 양심이 있다면 물러나는 것이 맞다”며 “더 이상 국민들에게 좌절감을 주지 말고 감성에 호소하지 말라. 대통령께도 말씀드린다”고 압박했다. 오신환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도 “법적 문제만 없으면 다인가. 정치적, 도의적 책임이라는 것도 있다”고 강조했다. 오 원내대표는 “이런 천박한 수준의 윤리적 감수성을 가진 인물이 청와대 민정수석을 해서 문재인정부 인사가 참사를 넘어 망사가 됐던 것이다. 법적 문제는 법무부 장관실이 아니라 법원 가서 따지고 자진사퇴하길 바란다”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

의혹이 일파만파 확산되는 상황에서도 민주당이 ‘엄호 모드’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것은 문재인정부의 핵심 과제인 사법개혁의 적임자이자, 문 대통령의 최측근이라는 조 후보자의 상징성 때문이다. 하지만 겉으로는 엄호하면서도 점차 긴장하는 분위기가 당 내부에서 감지된다. 21일 예정된 의원총회에서 조 후보자와 관련한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정치·사법개혁특별위원회와 인사청문회 일정을 조율하기 위해 소집한 것이지만, 조 후보자 의혹이 핵심 쟁점으로 부각된 만큼 조 후보자에 대한 언급이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이가현 신재희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