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에서 물품을 구입할 때 활용하는 ‘나라장터’의 일부 물품가격이 민간 온라인쇼핑사이트보다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나라장터 판매가격이 두 배 넘게 비싼 품목도 있었다.
경기도는 나라장터와 동일 모델로 실제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돼 가격비교가 가능한 3341개 물품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를 위해 지난 4월 16일부터 6월 12일까지 약 두 달간 검색솔루션을 보유한 민간전문업체에 의뢰해 시장물품과 비교가 용이한 사무·교육·영상과 전자·정보·통신 등 2가지 분야를 선정했다.
조사결과 3341개 물품 가운데 정가기준으로 일반 온라인쇼핑몰의 판매가격이 저렴한 경우가 1392개(41%)나 됐다. 양자의 가격이 동일한 경우가 128개, 나라장터 판매가격이 저렴한 경우는 1821개였다.
일본 브랜드인 A사의 ‘비디오프로젝터’는 조사 시점의 일반 온라인쇼핑몰 가격이 97만원인데 비해 나라장터 판매가격은 264만원으로 2배 이상 비쌌다.
또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많이 사용하는 ‘재 제조토너’는 모델명이 동일한 유사제품의 일반 온라인 쇼핑몰 판매가격이 나라장터 대비 57%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신혜 경기도 공정소비자과장은 “공공조달품목이 민간거래가격보다 높다는 공공조달 가격 적정성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면서 “국민의 혈세 낭비를 막고 적정 조달가격 유도를 위한 사전 실태조사 차원에서 두 단가의 비교조사를 진행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과장은 “이번 공공조달 물품의 단가 비교 조사는 국민의 혈세를 제대로 사용해야 한다는 이재명 도지사의 도정운영 철학에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기도는 이번 조사결과를 정부의 해당부처인 조달청과 공유하고 불공정 조달 행위를 막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체간 협업 감시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건의할 방침이다.
조달청은 공공조달가격 적정성 논란 해소를 위해 지난해 7월 나라장터 종합쇼핑몰과 민간 쇼핑몰 간의 연계강화로 조달물자 가격비교, 수요기관의 민간쇼핑몰 직접 구매 허용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다수공급자계약 적정 가격관리 종합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시행시기가 내년 이후로 예정돼 있어 경기도의 이번조사가 조달청 조사의 선행지표 기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