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인구 1000만 시대에 유통업계가 ‘펫팸족’(pet과 family의 합성어)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19일 유통·식품업계에 따르면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2014년 1조5000억원에서 2017년 2조3000억원으로 3년 만에 1.5배 성장했고, 올해는 3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KB금융이 발표한 ‘2018 반려동물보고서’에 따르면 시장 규모는 매년 10% 이상 성장해 2023년 4조6000억원, 2027년 6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도 발빠르게 나섰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GS프레시는 반려동물 쇼핑몰 스타트업 ‘펫츠비’와 함께 6000여종의 반려동물 상품에 대한 새벽배송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오후 9시까지 주문하면 다음 날 오전 7시까지 상품을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다. 펫츠비 앱에는 반려동물의 연령대, 상품 원재료, 기능성 등에 따른 검색 기능도 탑재하고 있어 손쉽게 쇼핑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이번 추석을 앞두고 업계에서는 반려동물을 위한 수제간식을 명절 선물세트로 준비해 눈길을 끌었다. 갤러리아백화점은 반려동물을 위한 이름표·스킨케어 제품·나들이용품·수제 간식 등 건강 세트 등을 추석 선물세트로 출시했다(사진). 신세계백화점도 ‘동결 건조 견/묘 세트’를 내놨다. 민물장어, 홍합 등 다양한 수산물을 재료로 프리미엄급으로 제작한 제품이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앞으로 ‘펫팸족’이 더 늘어남에 따라 반려동물과 관련된 선물 세트 등 품목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마트는 반려동물 식품·용품과 펫가전 300여개 품목을 최대 70% 할인하는 ‘펫페어’를 열기도 했다. 쿠팡은 매달 반려동물을 키우는 고객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집사님을 위한 펫 가이드’를 내고 있다.
숙박·액티비티 예약 서비스 ‘여기어때’ 운영사 위드이노베이션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올 여름 반려동물과 동반 여행이 가능한 숙소는 700여곳으로 조사됐다. 2016년에는 70여곳에 불과했는데 3년 새 10배가량 증가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