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명령이다. 이제 가족의 품에서 편안히 쉬면서 10년의 긴 등반을 마무리하라.”
박연수 전 직지원정대 대장은 지난 17일 충북 청주시 흥덕구 고인쇄박물관의 원정대 추모 조형물 앞에서 울먹였다. 10년 전 히말라야산 안나푸르나 히운출리(해발 6441m) 북벽 아래에서 실종됐던 직지원정대 소속 민준영(당시 36세)·박종성(당시 42세) 대원의 유골이 고향 청주에 도착한 날이다. 두 대원의 가족, 직지원정대·충북산악회 관계자, 각계각층 인사 및 시민 등 100여명이 이들을 위한 추모식에 참석해 애도를 표했다.
네팔 포카라병원에서 두 대원의 신원을 확인하고 함께 고국으로 돌아온 박 전 대장은 “빙하 속에서 10년 동안 함께 있었던 두 대원을 발견한 것이라고 네팔 경찰이 설명하더라”고 했다. 그는 “빙하가 녹으면서 두 대원 시신이 미끄러져 산 아래로 이동하게 됐다”며 “현지 주민이 발견했는데 조금만 늦었다면 금방 훼손돼 고국으로 영영 돌아오지 못했을 것”이라고 했다.
박 대원의 형 종훈씨는 “오늘 정말 반갑고 기쁜 만남을 이뤘다”며 “기약 없는 기다림 끝에 행복한 만남을 할 수 있게 도와준 모든 분께 감사한다”고 말했다. 민 대원의 동생 규형씨는 “참 긴 등반이었다. 기적적으로 형이 돌아와서 기쁘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SNS 글을 통해 “유가족과 동료들에게 위로의 마음을 전하며 두 대원이 가족 품에서 따뜻하게 잠들길 바란다”며 “오직 자신들의 힘으로 등반해 우리 금속활자본 직지를 세계에 알리고자 했던 두 대원은 진정한 알피니스트”라고 추모했다. 또 “국민들은 두 대원의 도전정신과 도전으로 알리고자 했던 직지 모두 매우 자랑스럽게 기억할 것”이라고 했다.
직지원정대는 2006년 해외원정등반을 통해 현존하는 금속활자인쇄본 중 가장 오래된 직지를 전 세계에 알리고자 결성된 등반대다. 고인들은 2009년 9월 25일 히운출리 북벽의 신루트인 ‘직지루트’ 개척에 나섰다 해발 5400m 지점에서 베이스캠프와 마지막으로 교신한 뒤 실종됐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