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구미형’ 일자리가 성공궤도에 오르면서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에 노사정 상생형 일자리 붐이 불고 있다. 일자리 감소로 만성 불황에 허덕이는 지역과 인건비 상승으로 몸살을 앓는 기업들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이 사업은 지자체와 기업 모두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남도는 11일 신안군에 노·사·민·지자체가 함께 참여하는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해 ‘전남형 상생일자리’ 모델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상풍력발전단지는 2029년까지 민간 투자를 포함해 모두 48조5000억원이 투입돼 8.2GW 규모로 조성된다. 도는 이곳에 부품설비 제조업소 40곳을 유치해 상시 일자리 4000여개(간접 일자리 포함 11만7506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강원도는 13일 횡성군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최문순 강원도지사, 완성차와 부품제조사 13개사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강원형 일자리’ 상생 협약식을 연다. 횡성군 우천산업단지에 1703억원을 투입해 초소형 전기차 생산단지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2021년부터 연 2만대 생산, 2000여명 채용이 목표다. 강원형 일자리는 중소기업들이 조합을 결성, 연구개발과 생산판매까지 공유하는 모델이다.
경북도는 구미 일자리 성사에 동력을 얻어 포항형 일자리(차세대 배터리 파크 조성)와 경주형 일자리(전기 사용차 완성차 생산)도 연이어 추진하고 있다.
앞서 군산형 일자리를 발표한 전북 군산시는 폐쇄된 한국지엠 군산공장과 새만금 산업단지 제1공구를 전기차 클러스터로 조성하는 모델을 이달 안에 발표한다. 오는 2021년까지 1200개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현대모비스의 3300억원 투자를 발표한 울산시의 울산형 일자리는 기업투자 촉진이 가장 큰 특징이다. 기반은 친환경 미래형 자동차 등 신성장동력 산업이다.
지난 6월엔 경남도가 밀양시,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밀양형 일자리 협약식을 가졌다. 28개 뿌리기업이 직원 1700명과 함께 이주해 2024년까지 3500억원 이상을 투자하고 500개 이상 신규 일자리를 만든다는 것이다.
이목희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최근 언론 기고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상생형 지역일자리’가 전국으로 확산되길 기대한다”며 “지원 근거 등을 담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의 조속한 개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전주·무안=김용권 김영균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