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오송 결핵연구원은 지금… 검사의뢰 봇물, 정부 지원 더 늘려야

입력 2019-08-11 18:15
충북 청주시 오송의 결핵원구원 업무 모습.

지속가능한 결핵 연구를 위한 정부 차원의 충분한 지원 환경 조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한해 전국 보건소에서 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이하 연구원)에 의뢰한 결핵 의심 환자의 객담(가래) 의뢰건수는 17만6000건이다. 연구원은 결핵 관련 각종 연구도 실시하고 있지만, 보건복지부나 지방자치단체 등 정부 지원이 단편적이어서 집중 연구 환경은 그리 녹록치 않은 실정이다.

최근 방문한 충북 청주시 오송의 결핵원구원은 결핵 정책 및 기초연구를 담당하는 연구센터와 전국 보건소에서 의뢰한 환자 객담 등을 검사하는 진단검사의학센터로 구성돼 있다.

일선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도말 검사보다 연구원의 배양 검사가 결핵 발생 여부를 판정률이 높다. 배양 검사는 기본이고 어느 약제가 해당 결핵균 사멸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는 약제감수성 검사도 이곳에서 이뤄진다. 리얼타임PCR 검사를 통하면 결핵 감염 여부를 확실히 알 수 있게 된다. 지난해에만 60000여건의 PCR 검사가 실시됐다. 홍종욱 진단검사의학부장은 “최근에는 비결핵성 폐결핵 환자의 검사도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진단검사에만 70여명의 임상병리사들이 투입된다. 검체 건수가 많다보니 진단검사를 위한 손은 항상 부족하다. 다만, 지역에 위치한 터라 인력수급이 그리 원활하진 않다. 과거에 비해 결핵 환자가 줄었지만, 여전히 전국에서는 결핵 발생 여부와 결핵균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려는 의뢰가 밀려든다.

연구원 2층에 위치한 연구센터에는 박사급 연구자 6명과 석사급 5명 등이 상주한다. 이들은 진단검사 및 약제 감수성 개발에 대한 노하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정부 연구 과제를 수행 시 어려움도 있다고 했다. 센터 관계자는 “결핵 관련 정부 연구 사업이 분산돼 이뤄지기 때문에 집중이 안 된다”며 “결핵 연구 선정 위원들도 결핵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혹하는 신기술로 과제비를 타 연구를 진행하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된다”고 밝혔다.

정부 결핵 사업이 단편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은 또 있었다. 김천태 결핵연구원장은 “사업 예산을 중앙과 지자체가 일대일로 부담하다보니 사업 지속성이 이뤄지지 못한다. 결핵 관련 감염병 정부 사업은 국가 전액 지원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특히 훗날 결핵으로 이어질 수 있는 잠복결핵 관리에 대해 김 원장은 “발병 이후 환자 관리에 초점을 맞춰오던 것에서 전향적 변화가 필요하다”며 “잠복결핵 양성 판정을 받은 이들을 잘 관리해 발병하지 않도록 예방 치료를 하거나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의 말처럼 우리나라의 결핵 관리는 발병 환자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결핵 퇴치가 어려운 현실에서 발병 전 관리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이야기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예산 증액 등이 요구된다.

김양균 쿠키뉴스 기자 ange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