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민간교류 막아선 안돼” 쓴소리에… 강경 발언 쏟아내던 여당 숨고르기

입력 2019-08-07 19:02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오전 서울 중구에 있는 한국관광공사 서울센터에서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케이스타일 허브’ 관광안내센터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의 경제보복 관련 연일 강경 발언을 쏟아내던 더불어민주당이 여론을 살피며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그간 당에선 일본경제침략대책특별위원회를 중심으로 ‘도쿄올림픽 보이콧’ 등 강도 높은 주장들을 쏟아냈다. 하지만 당 안팎에서 지나치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한 발 물러서면서 발언 수위를 조정하는 모양새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최고위원들은 7일 현장 여론을 듣기 위해 한국관광공사 서울센터에서 ‘국내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현장 최고위원회’를 열었다.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안영배 한국관광공사 사장, 민간 분야에서 윤영호 관광협회중앙회장, 오창희 한국여행업협회장이 참석했다.

관광산업 활성화를 강조하는 당 지도부를 향해 참석자들은 쓴소리를 쏟아냈다. 오창희 협회장은 “국민이 자발적으로 일본을 가지 말자고 하는 부분은 당연히 아무런 이의가 없다”면서도 “정치·외교 문제와는 별개로 서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민간 교류가 확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 회장은 이어 “일부 지자체에서 (일본 여행을) 금지하고 청소년 간 교류를 막고 있는데 이런 것이 한·일 국민에게 미래지향적으로 도움이 되겠느냐”고 지적했다. 오 회장은 “정치·외교 문제에 대해 민간 교류까지 막는 것은 자제해달라”고 호소했다.

앞서 경기도 광명시는 지역 내 청소년들의 국제교류를 위한 일본 방문을 취소했다. 충남 보령시도 자매결연한 일본 일부 도시와의 문화·예술 교류를 잠정 중단키로 했다. 서울 중구는 일본 관광객이 많이 찾는 명동과 청계천 일대에 ‘노 재팬(NO JAPAN)’ 깃발을 걸기로 했다가 반대 여론에 부닥쳐 철회했다. 윤호중 민주당 사무총장은 최고위 직후 기자들과 만나 “지자체나 정부 차원의 대응은 자칫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위배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는 것이 당의 기본적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경제보복침략특위도 도쿄올림픽과 관련, 보이콧보다는 방사능 안전 문제를 좀 더 부각하면서 발언 수위를 조절했다. 최재성 특위 위원장은 “올림픽 문제와 방사능 문제는 별개로 다뤄져야 할 것”이라며 “올림픽과는 별개로 생명과 안전, 건강에 대한 문제는 우리가 검토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기형 특위 간사도 “도쿄올림픽 보이콧은 잘못 전달된 것”이라며 “(방사능 문제를) 일본 정부가 투명하게 알리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 문제 제기의 초점”이라고 말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