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지자체 첫 ‘탈일본 지역기업’ 자금 지원 나섰다

입력 2019-08-08 04:03

부산시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탈(脫) 일본 지역기업’에 대한 비용 지원에 나섰다. 시는 부산테크노파크와 손잡고 지역 소재 기업이 일본에서 수입하던 부품을 미국·독일 등 다른 국가산으로 대체하는데 드는 비용을 지원한다고 7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지역 기업들의 총수입액 148억 달러 중 일본에서의 수입액은 25억 달러로 산술적인 수입품의 일본 의존도는 16.8%인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일본 수입 상위 100대 품목 분석 결과 일본 의존도는 35.3%로 매우 높고, 기계 철강·금속 전자전기 등의 생산에 필요한 품목이 많아 일본 수출규제가 장기화할 경우 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이 제품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바꾸려면 부품기업에 도면을 의뢰해 시제품을 제작한 뒤 적용 테스트를 완료한 후에야 부품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이 과정이 기계 분야의 경우 6개월 정도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부산시는 이같은 기간 동안 해당 기업에서 발생하는 제반 비용을 일정 부분 지원할 방침이다.

또 신규 수입시장 발굴을 위해 소요되는 각종 비용 중 시제품·샘플 구입비, 물류·통관비, 바이어 방문·초청 경비, 통번역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제안하는 맞춤형 특수비용까지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한·일 무역전쟁 확대에 대응해 긴급히 예산을 편성했다. 시는 이 예산이 지역 기업의 부품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일본에서 주요 부품 및 소재 등을 수입하는 시 소재 제조업 기업 중 신규 수입국으로 변경을 시도하는 기업이면 모두 신청할 수 있다.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15일부터 시 해외마케팅통합시스템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김윤일 시 일자리경제실장은 “일본의 수출규제가 장기화할 경우 지역 제조업 기업들의 부품 수급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한·일 무역분쟁이 장기화할 경우 시의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충분한 자금을 확보해 기업 수출입 통계 정밀 분석, 글로벌 소재부품 구매 사업에 나서서 지역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생산구조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기계와 전기, 화학과 자동차 관련 기업 등이 특히 일본의 수출규제에 따른 피해를 많이 볼 것으로 판단하고 부산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부산본부 등과 지원대책반을 운영하고 있다. 또 피해 기업에 총 100억원 규모의 긴급 특례보증에 나서기로 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