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시설 광주 ‘상무소각장’, 문화 명소로 재탄생 예고

입력 2019-08-07 19:05

광주 도심의 대표적 혐오시설인 상무소각장(사진)이 복합문화시설로 거듭난다. 폐산업시설 우수 활용사례로 꼽히는 경기 부천 ‘아트벙커 B39’와 서울 마포구 ‘문화비축기지’를 본 딴 문화재생사업이다.

광주시는 “문화체육부가 주최하고 재단법인 지역문화진흥원이 주관한 ‘2019 유휴공간 문화재생 대상지 공모’에 상무소각장이 최종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2016년 12월 소각시설이 가동을 중단한지 2년 7개월여 만이다.

문체부는 보존가치가 높은 유휴공간을 문화명소로 발굴, 활용하기 위해 전국 17개 광역단체와 226개 기초단체를 대상으로 문화재생 사업 대상지를 공모했다.

상무소각장은 지난 2000년 9월 713억여원을 들여 준공됐다. 하지만 인근 상무지구 아파트 주민들의 집단시위 등 거센 반대를 거쳐 2001년 12월에야 본격 가동됐다. 하루 300~400t의 쓰레기를 소각하면서 발생하는 악취와 매연으로 여전히 천덕꾸러기 신세를 면치 못했다. 그러다가 광주 발전의 걸림돌이라는 이유로 2016년 12월 가동을 멈추고 지금까지 방치돼왔다.

시는 상무소각장을 관광명소로 육성하기 위해 최근 시의회와 민·관·전문가 합동워크숍을 가졌다. 합동워크숍에 참가한 주민 대표와 전문가들은 부천아트벙커 B39와 상암 문화비축기지를 직접 견학하는 등 공감대를 넓히고 있다.

광주시는 도심 중심부에 위치한 상무소각장을 시민들과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문화명소로 육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대표시립도서관을 포함해 다양한 문화공간을 꾸민다는 기본계획을 손질하고 있다. 하지만 도서관 건립 계획을 제외하고 뚜렷한 활용방안을 세우지 못한 상황이다.

논란이 거듭된 상무소각장 기금 65억여 원의 사용방안도 현재 불투명하다. 상무소각장 기금은 소각장 인근 주민들의 복리증진 차원에서 소각시설 반입 폐기물 수수료 10% 등을 따로 떼어 적립한 예산이다. 시는 9088세대가 거주하는 주변 1.3㎢ 이내 아파트 14개 단지의 노후된 승강기 교체와 외벽도색, 지하주차장 보수 등에 기금을 투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