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의 경제보복 조치가 이어져 나오면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사진)이 국내 기업들의 핵심소재·부품·장비 원천기술 개발 지원에 나섰다.
KAIST는 지난 주말 신성철 총장 등 주요 보직교수들이 참여한 가운데 비상간부회의를 열고 반도체·에너지·자동차 등 주요 분야 업체들의 원천기술 개발지원을 위해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KAIST Advisors on Materials & Parts·KAMP)’ 설치를 확정했다고 5일 밝혔다.
자문단은 일본의 수출규제 영향권에 들 것으로 예상되는 1194개 품목 중 주요 159개 품목과 관계된 중견·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지원 및 자문을 담당한다.
단장은 최성율 현 공과대학 부학장이 맡고, 5개 기술분과와 팀장은 ‘첨단소재분과’에 이혁모 신소재공학과장, ‘화학·생물분과’ 이영민 화학과장, ‘화공·장비분과’ 이재우 생명화학공학과장, ‘전자·컴퓨터분과’ 문재균 전기 및 전자공학부장, ‘기계·항공분과’ 이두용 기계공학과장 등이다. 분과마다 전·현직 교수가 20여명씩 참여해 100명 규모로 구성될 예정이다.
자문위원들은 기업지원 현황과 문제해결 결과 등에 대해 정기적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기술자문을 희망하는 중견·중소기업은 기술자문 전담접수처로 문의하거나 이메일로 상담을 신청하면 된다.
신 총장은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위해 전담접수처를 운영하고, 접수 즉시 각 분과 팀장이 자문위원 중 담당 교수를 지정한다”며 “어려움을 겪는 기술에 대한 진단 및 기업현황 분석 등의 과정을 밀착 지원하는 ‘원스톱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