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이 총리, 일본 ‘화이트리스트 배제’ 결정 앞두고 회동

입력 2019-08-01 04:06

문재인 대통령과 이낙연 국무총리가 31일 오후 청와대에서 회동했다.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안보상 수출심사 우대 국가) 한국 배제 결정을 앞두고 대책을 상의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과 이 총리는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 이후 양국 간 갈등 사태의 진행 상황을 살펴보고 정부의 단기·중장기 대응 방안을 폭넓게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대일 특사 파견 여부는 아직 시기가 무르익지 않았다는 판단에 거론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일본이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를 강행할 경우 단호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일본이 예상대로 오는 2일 조치에 나선다면 단계적 대응 시나리오에 따라 문 대통령이 대일 메시지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31일 국회에서는 초당적 협력기구인 ‘일본수출규제대책 민관정협의회’의 첫 회의가 열렸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여야 4당 정책위의장과 자유한국당의 일본 수출규제대책특위 위원장,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김영주 한국무역협회장 등이 참석했다.

민관정협의회는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조치에 대비해 시나리오별 대응 방안을 면밀히 점검하고 보완해 나가기로 했다. 또 일본의 조치로 인한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 대응키로 했다. 홍 부총리는 “기업은 재고 확보, 수입처 다변화 등 공급 안정화를 위한 노력을 가속화하고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중소기업과의 상생 협력을 위해 각별히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민관정협의회는 이번 갈등 사태를 우리 경제의 대일의존도를 낮추고 체질 개선의 계기로 삼자는 데에도 뜻을 모았다. 홍 부총리는 “핵심 소재·부품 기술 개발에 매년 1조원 이상 지원하는 등 정부가 부품·소재 장비 분야의 지원 대책을 추진해 나가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고 말했다.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우리 DNA 속에는 힘을 합쳐 위기를 극복하는 유전자가 있다”며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사태를 금 모으기 운동으로 슬기롭게 극복해냈듯이 이번 위기도 슬기롭게 이겨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야당은 정부의 효율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정진석 한국당 대책특위 위원장은 “문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했고, 채이배 바른미래당 정책위의장은 “협상을 담당하는 정부가 감정적으로 나서는 것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 되니 이성적이고 구체적인 대안을 정부가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재현 이상헌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