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옥·근현대 건축물 전면적 발굴 재생

입력 2019-07-29 21:20 수정 2019-07-29 22:46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전통 및 현대 한옥은 물론, 숨겨진 근·현대 건축물을 발굴하고 재생하는데 전면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역사성을 고스란히 담은 건축자산이야말로 서울의 ‘랜드마크’이자 ‘브랜드’가 될 것이란 판단에서다.

서울시는 건축자산에 대한 조사 발굴 관리 활용을 위한 실천과제와 전략을 담은 ‘서울시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을 수립했다고 29일 밝혔다. 오는 2022년까지 3대 실천과제 11개 전략(30개 세부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그동안 시가 집중 발굴 보전해온 전통 건축자산인 한옥은 물론 근 현대 건축물과 공원 시장 같은 공간환경, 기반시설까지 건축자산 범위를 확대하고, 관리도 ‘보존을 위한 규제’ 가 아니라 ‘적극적 활용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우선 내년 6월까지 서울 전역의 건축자산 발굴조사를 통해 우수 건축자산 등록과 ‘건축자산진흥구역’ 체계 전환으로 수선비용 지원과 건축특례 적용 등이 가능한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 북촌 등 11개 한옥밀집지역을 시작으로 ‘건축자산진흥구역’을 올 연말까지 지정 고시해 건물 특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수선과 환경정비를 동시에 지원한다.

현재 체부동성결교회 등 3개에 그치고 있는 ‘우수 건축자산’도 대폭 늘려 수선비용 지원, 건축특례 적용 범위를 확대한다. 우선 공공이 소유한 건축자산 50여 곳부터 우수 건축자산 등록을 추진한다.

우수 건축자산으로 등록되면 최대 1억원의 수선비용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건물 특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건축법, 주차장법 등 일부 규정이 완화되는 내용의 건축특례(건폐율, 조경면적, 공개공지, 건축선, 건축물 높이, 주차장 확보 등 총 24개 항목)를 적용받을 수 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