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심장’ 경기도 일 수출규제대응 2차 TF회의

입력 2019-07-28 22:07

경기도가 지난 26일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일본의 반도체 수출규제 대응 2차 TF회의’를 열고 단계별 세부 추진계획을 확정했다. 회의는 이화순(사진 가운데) 행정2부지사를 비롯한 경기도와 도 산하기관, 전문 유관단체, 기업 등 관계자 18명이 참석해 경기도와 도 공공기관, 전문협회별 대책을 보고하고 원활한 추진방안을 논의했다.

논의된 대책으로는 테스트베드 구축이나 기술개발 등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분야는 중앙부처 시·군과 협업을 추진하고, 국산제품 개발이 가능한 중견·강소기업을 지원해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 지원예산 규모, 지원사업 성과물 도출 기간, 행정절차 등을 고려해 단기(1년 이내), 중기(1~3년), 장기(3년 이상)로 구분해 기간별로 대책을 추진한다.

단기과제로는 기업 맞춤형 지원 및 기술연구 투자 확대, 중기 과제로 소재부품 대체물량 확보와 정책연구 분석, 장기 과제로는 연구개발(R&D) 지원, 대-중소기업 공동연구 등을 선정했다.

이 밖에도 기업들에게 대-중소기업 컨소시엄을 통한 국가R&D과제 공동연구·개발 참여, 테스트베드 구축 참여, 대기업의 중소기업 제품사용 협조 등을 요청하고, 정부에게는 국가R&D과제 공동연구 사업비 지원, 테스트베드 구축비용 지원,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 세제지원, 규제·인허가 완화 등을 건의하기로 했다.

한편, 도는 ‘일본 반도체 수출규제 피해 신고센터’(031-259-6119, sos119@gbsa.or.kr)를 설치하고, 도내 중소기업 대상 특별경영자금 100억원을 긴급 편성·지원을 추진 중이다.

의정부=박재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