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2명이 탄 러시아 어선 1척이 기관 고장으로 표류하다 북한 당국에 단속돼 원산항에 정박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두 사람의 신변은 안전한 것으로 파악됐으나, 북한은 우리 정부의 송환 요청에 답을 하지 않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24일 기자간담회에서 “(러시아 선박에 탔던) 우리 국민은 현재 호텔에 머무르고 있으며 신변이 안전한 것으로 파악된다”면서 “(이들은) 북한 당국으로부터 관련 경위 조사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50, 60대 남성인 두 사람은 어업감독관 자격으로 해당 어선에 승선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러시아 국적의 300t급 홍게잡이 어선인 ‘샹하이린 8호’는 지난 16일 오후 7시쯤 속초항을 출발해 러시아 자루노비항으로 가던 중 기관 고장을 일으켰다. 17일 동해상 북한 수역에서 표류하다 북한 당국에 단속됐다. 러시아 국적 선원 15명과 한국인 어업감독관 2명이 탑승한 이 배는 자루비노항 근처에서 조업할 계획이었다. 북한이 단속한 이유에 대해 통일부 당국자는 “사전 통보 없이 북한 수역에 들어간 것이 주된 이유인 것 같다”고 말했다. 배는 현재 원산항에 정박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지난 18일 선박의 상황과 한국인 탑승 사실을 파악하고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북측에 우리 국민의 송환을 요청했다. 19일에는 대한적십자사 회장 명의의 대북 통지문을 보냈다. 통지문에는 남측 인원이 안전하게 귀환하도록 조속히 조치해 달라는 것과 어선을 단속한 경위를 설명해 달라는 요청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이후에도 연락사무소의 연락대표 접촉 등으로 총 9차례나 북측에 송환을 요청했으나 현재까지 북한의 답변은 없는 상태다.
정부는 북한 주재 러시아대사관과 해당 선박의 러시아 선사 등을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북한과 러시아 간에는 협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대북 협의 채널 및 러시아 당국과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우리 국민의 안전을 확인하고 긍정적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북한은 다음 달로 예정된 한·미 연합 지휘소연습(CPX)에 대한 반발로 우리 정부가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지원하려는 쌀 5만t의 수령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WFP가 북한과 실무협의를 하던 중 이 같은 입장을 알게 됐다”며 “북한의 공식 입장을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