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군용기가 23일 두 차례 독도 영공을 침범한 7분 동안 우리 공군 전투기들은 360여발의 경고사격을 실시했다. 공군이 외국 군용기에 경고사격을 한 것은 처음이었다. 러시아 군용기의 영공 침범 직전엔 중·러 양국 군용기 4대가 함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헤집고 다니며 긴장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렸다.
중·러 군용기 5대가 KADIZ에 머문 시간은 중국 1시간25분, 러시아 1시간33분 등 약 3시간으로 파악됐다. 우리 공군은 중·러 군용기 5대 비행에 대응해 F-15K, KF-16 전투기 18대를 긴급 출격시켰다. 공군 전투기들은 남해에서 동해로 북상한 뒤 러시아 군용기와 함께 내려오는 중국 군용기에다 독도 영공을 드나드는 또 다른 러시아 군용기를 추적하느라 진땀을 뺐다.
KADIZ에 이날 가장 먼저 진입한 것은 중국 H-6 폭격기 2대였다. 이 2대가 오전 6시44분쯤 이어도 북서쪽에서 KADIZ로 진입했다가 오전 7시14분쯤 이어도 동쪽으로 이탈했다. 이어 일본방공식별구역(JADIZ)으로 들어가 대마도 남쪽을 거쳐 비행한 뒤 오전 7시49분쯤 울릉도 남쪽 140㎞ 상공에서 KADIZ로 재진입해 북쪽으로 비행했다. 울릉도와 독도 사이를 지난 뒤 오전 8시15분쯤 동해 북방한계선(NLL)으로 넘어갔다.
KADIZ를 이탈했던 중국 군용기 2대는 오전 8시33분쯤 동해 NLL 북쪽에서 러시아 투폴레프(Tu)-95 폭격기 2대와 합류한 뒤 기수를 남쪽으로 돌렸다. 중·러 군용기 4대는 오전 8시40분쯤 울릉도 북쪽 140㎞ 상공에서 KADIZ로 무단 진입한 뒤 함께 남쪽으로 비행했다. 합참 관계자는 “러시아 군용기 2대를 중국 군용기가 뒤따르는 형태로 이동했다”고 설명했다.
중·러 군용기 4대가 울릉도와 독도 사이를 지나 남하한 뒤 이들 군용기와 별도로 비행하던 러시아 A-50 조기경보통제기 1대가 오전 9시1분쯤 독도 북동쪽에서 KADIZ로 진입했다. 이어 조기경보통제기는 오전 9시9분쯤 독도 영공을 침범했다. 우리 전투기는 플레어(적외선 유도 미사일을 교란하는 불꽃) 10발을 투하하고 경고사격 80여발을 쐈다. 그러자 조기경보통제기는 오전 9시12분쯤 독도 영공을 이탈해 오전 9시15분 KADIZ를 떠났다. 이후 러시아 조기경보통제기는 다시 오전 9시28분 독도 남쪽에서 KADIZ로 재진입해 오전 9시33분 독도 영공을 또 침범했다. 공군 전투기가 플레어 10발을 투하하고 경고사격 280여발을 쏘자 러시아 군용기는 오전 9시37분 독도 영공을 이탈해 북쪽으로 비행해 오전 9시56분 KADIZ를 이탈했다. 러시아 조기경보통제기는 독도로부터 각각 12.9㎞, 15.7㎞ 떨어진 영공을 침범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군 관계자는 “러시아 군용기로부터 1㎞ 정도 떨어진 곳까지 접근한 뒤 15도 아래 바다 쪽으로 경고사격을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울릉도와 독도 사이를 지나 남하한 중국·러시아 군용기 4대는 오전 9시4분쯤 울릉도 남쪽 KADIZ를 이탈해 대마도 남쪽으로 이동했다. 이후 중국 군용기 2대는 중국방공식별구역(CADIZ)으로 넘어갔다. 러시아 군용기 2대는 남하 경로를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 다시 울릉도와 독도 사이를 지나 돌아갔다. 이날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는 공군의 경고통신에 대부분 응답을 하지 않았다. 중국 군용기는 “국제법적으로 정상적인 비행”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을 포함해 올해 KADIZ 무단 진입은 중국 군용기 25차례, 러시아 군용기 13차례로 식별됐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