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대일(對日) 강경 발언을 쏟아내는 조국(사진) 청와대 민정수석에 대해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이 22일 “공직자로서 갈등을 확산시키는 역할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조 수석의 페이스북 입장 표명과 관련해 여당에서 처음으로 공개적인 자제 요청이 나온 것이다.
윤 사무총장은 B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조 수석의 페이스북 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한·일 관계나 이를 둘러싼 문제는 복잡하고 미묘하기 때문에 이분법적으로 단정해서 표현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이번 사태가 강제동원 판결 문제를 통해 일본이 불만을 품게 된 건 사실이지만 그것을 경제 관계, 무역 제재로까지 확산하고 도발한 것은 일본이기 때문에 그 부분을 지적한 것”이라면서도 조 수석의 발언이 적절치 않다는 의견을 내놨다.
윤 사무총장은 또 “트위터나 페이스북은 개인의 언론창구로 봐야 한다”며 조 수석이 페북에 올린 글은 청와대의 기류를 반영한 공적 행동이 아니라 개인 의견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는 최근 민주당 내부에서 조 수석의 페북 발언이 지나치다고 보는 당내 기류가 일정 부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조 수석은 지난 13일부터 40건 넘는 글을 통해 일본을 비판하고, 야당과 일부 언론을 향해 날 선 비난을 쏟아냈다. 여당에서도 처음에는 일본을 향해 마땅히 할 소리를 하고 있다며 옹호하는 반응이 많았다. 하지만 지난 18일 조 수석이 현 상황을 전쟁으로 규정하고 ‘애국이냐 이적이냐’는 발언을 올린 데 이어 20일 “대법원 판결을 부정하는 한국 사람을 마땅히 ‘친일’이라고 불러야 한다”며 야당을 향해 날을 세우면서 우려가 커지기 시작했다.
민주당의 한 중진 의원은 “‘이적’처럼 일본을 아예 적으로 규정하는 듯한 발언이 앞으로 더 나와선 안 된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법무부 장관으로 거론되는 조 수석이 야당과 각 세우는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도 나온다. 한 정치권 인사는 “저 정도로 야당을 비판하는 걸 보면, 인사청문회를 할 생각이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