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 상한제’ 카드에… 서울 재건축 상승세 ‘뚝’

입력 2019-07-22 04:02

서울 부동산시장이 뚜렷한 주택매매 경기 회복세를 체감하고 있지만 분양가상한제 확대 적용이라는 변수를 맞닥뜨린 재건축 시장은 상승세가 크게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의 ‘6월 부동산시장 소비자심리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지역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28.3으로 5월(108.5)보다 19.8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9월 이후 9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자 8개월 만의 상승 전환이다.

소비심리지수는 전국 152개 시·군·구 6680가구, 중개업소 2338곳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산출된다. 0∼200 범위의 값으로 표현되며 100을 넘으면 가격 상승 또는 거래 증가를 체감했다는 응답이 반대의 경우보다 많다는 의미다.

서울 및 전국 소비심리지수는 9·13대책 이후 줄곧 100 안팎의 보합 국면에 머물었으나 지난달 재건축 중심 바닥다지기 및 급매 소화가 시장에 체감 반등으로 다가오면서 20포인트나 급등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서울 아파트값이 6월 말 이후 꾸준히 강보합세를 보이는 것으로도 확인된다. 부동산 114에 따르면 7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값은 0.09% 올라 여전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다만 전주(0.10%)에 비해 오름폭이 다소 줄었는데 이는 분양가상한제의 민간택지 적용이 예고되면서 재건축 예정 아파트의 매매가 상승률이 큰 폭으로 꺾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6월 들어 0.10%를 돌파한 이래 지난주(0.30%)까지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왔다. 하지만 이번주 분양가상한제 확대를 골자로 한 정부의 추가 규제 움직임이 가시화되자 상승폭이 3분의 1 수준으로 크게 축소됐다.

여전히 가격은 오르고 있지만 최근 서울 부동산 반등을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매매열기가 견인했던 만큼 당분간 집값 상승세에는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이 3년 만에 기준 금리를 0.25% 포인트 인하하면서 금리 인하로 부동산시장에 유휴 자금이 유입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병존하곤 있지만 정부의 강력한 대출 억제와 추가 규제가 맞물리면서 금리 인하만으로 수요자들을 자극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도입 방식과 시기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서울 지역의 공급 희소성 이슈가 함께 부각되고 있어 기존 아파트에 대한 재평가도 나타나는 분위기”라며 “분양시장 규제의 풍선효과로 기존 아파트 가격이 오르는 부작용을 낳지 않도록 공급 축소 가능성에 대한 보완책 마련도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