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4당 대표들은 18일 청와대 회동에서 추가경정예산안 처리에 공감대를 이뤘지만 자유한국당의 반대에 부딪혀 최종 공동발표문에 담지 못했다. 여야는 6월 임시국회 마지막 날인 19일 본회의 일정도 합의하지 못한 상황이라 추경안 처리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지금 경제가 엄중한데 엄중한 경제대책으로 가장 시급한 것은 역시 추경을 최대한 빠르게 원만하게 처리하는 것”이라며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협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또 “소재 부품 문제에 대한 대책의 예산도 국회에서 충분하게 (논의)해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강원도 산불 관련 재해 대책, 포항 지진 대책 등을 거론하며 “가능하면 19일에 추경안이 꼭 처리됐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는 “19일에 본회의를 열어 추경과 야당이 제출한 국방부 장관 해임건의안을 보고토록 하자”고 절충안을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에 이어 10차례 넘게 추경 처리를 강조했다. 하지만 황교안 한국당 대표는 원내 소관 사안이라며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회동 직후 브리핑에서 “마지막까지 본회의에서 추경 처리가 이뤄졌으면 하는 문 대통령과 여야 4당의 촉구가 있었지만, 황 대표가 답을 주지 않았다”고 전했다.
황 대표는 회동 뒤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추경에 대한 당내 논의가 충분치 않았기 때문에 발표문에 포함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통령은 추경에 관한 이야기를 공동발표문에 넣자는 생각이 강했지만, 저는 추경의 범위나 대상 등이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고, 협의할 부분이 많으므로 섣불리 발표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19일 본회의는 어렵다. 7월 임시국회도 안 한다”며 “문 대통령이 (정경두 국방부 장관을) 해임한다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한국당은 북한 목선 국정조사와 정 장관 해임건의안 중 하나는 민주당이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6월 임시국회 회기는 19일까지라서 물리적으로 추경안 처리가 쉽지 않아 보인다. 다만 여야가 초당적 대응을 약속하고도 추경 처리를 못하는 것에 대한 비판여론을 의식해 막판 타협을 이룰 가능성은 남아 있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는 “문 대통령에게 (회동 결과에) 만족하느냐고 물었는데 만족 안 한다고 하더라. 추경이 발표문에 안 들어가서 그런 것 같다”고 말했다.
김나래 심희정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