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대비 통상전략 짜야”

입력 2019-07-17 19:00
한국무역협회가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를 상수로 두고 통상전략을 짜야 한다고 제언했다. 일본의 수출 규제 장기화에 대해선 소재부품의 국산화 노력 강화는 물론 대기업들도 소재부품 기술개발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밝혔다.

무협은 17일 서울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통상전략 2020’ 보고서 발간과 함께 세미나 및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보고서를 통해 무협은 통상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역할 증강과 함께 노동·안보·환경 등 종합적 관점의 외국인투자 심의제도 도입, 불공정 무역 대응을 위한 범부처 차원의 디지털 무역 민관협의체 구성 등을 제안했다. 특히 미국이 향후 중국의 제3국 우회 수출 흐름을 차단, 무역분쟁이 장기화될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다차원적 대미 통상활동과 중국 산업고도화에 따른 대중국 교역 업그레이드를 한국의 통상전략으로 삼아 대응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최근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와 국내 대응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김영주 무역협회장은 간담회에서 “정치·외교적 문제를 통상이나 경제쪽으로 끌어들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전제하면서 “서로 간 협력과 발전의 추진 동력을 잃어선 안 된다”고 우려했다. 이어 “앞으로 우리 기업들의 통상전략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장기화 가능성에 대비해 수요 대기업이 기술개발에 직접 참여해야 할 필요도 있다”며 공급처 다변화, 소재부품 국산화 노력 등을 주문했다.

무협은 또 통상 대응역량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에 전문 컨설팅을 제공하는 ‘통상정보전략센터’를 하반기 설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