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5당 회담 수용… 일 경제 보복 초당적 대응

입력 2019-07-16 04:04
황교안(가운데) 자유한국당 대표가 15일 국회에서 일본의 경제 보복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황 대표는 대응책 논의를 위한 청와대 회담, 대일 특사 파견, 외교라인 교체 등을 문재인 대통령에게 제안했다. 최종학 선임기자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일본의 통상 보복 조치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위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문재인 대통령과 만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실효적 대안이 나오기 전까지 영수회담은 없다던 입장에서 물러나 여당이 제안한 대통령과 5당 대표 회담을 사실상 수용한 것이다. 황 대표가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제안에 1주일 만에 답을 내놓으면서 일본의 경제 보복에 대응하기 위한 정치권 차원의 초당적 협력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황 대표는 1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에 대한 대응책 등의 논의를 위해 청와대에 회담을 제안한다”며 “위기 상황에 정치 지도자들이 머리를 맞대는 모습은 그 자체로 국민에게 큰 힘이 될 것이다. 대승적 차원에서 어떤 회담이라도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황 대표는 그동안 5당 대표 회담보다 일대일 단독 회담이 먼저라며 정부·여당의 영수회담 제안을 거절해 왔다. “대통령이 5당 대표들을 만나봐야 무슨 뾰족한 수가 나오겠느냐. 국내 정치용 이벤트에 야당을 들러리 세울 때가 아니다”며 회동 자체를 평가절하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본이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등 경제 보복 조치를 강화하고 기업들의 피해가 현실화됨에 따라 황 대표도 정부·여당의 초당적 협력 요구를 받아들이는 쪽으로 입장을 바꿨다. 황 대표는 “인내심을 가지고 정부의 대책을 기다렸지만 우리 기업 피해가 현실로 닥쳐오는 상황에서 더 이상 정부 대책을 기다리고 있을 수만은 없었다”고 회담 제안 배경을 설명했다.

황 대표의 제안에 여야 4당은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 대표는 “황 대표가 실질적인 논의가 가능하다면 어떤 회담이라도 수용한다고 했다. 사실상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 간 회동을 제안한 것이라고 보이며 환영한다”고 말했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도 “늦었지만 잘한 것”이라며 긍정적 평가를 내놨다.

회동이 이뤄지면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는 지난해 3월 이후 1년4개월 만에 한자리에 모이게 된다. 청와대는 국회 차원의 입장 정리가 필요하다며 황 대표의 제안에 공식 반응을 내놓지는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5당의 의견이 모이지 않아 국회가 입장을 모아와야 하지 않겠느냐”며 “회담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여야 5당 사무총장은 실무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이날 오후부터 협의에 들어갔고 일단 오는 18일 회동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여야는 16일에 한 번 더 만나 회동 시기와 의제 등을 최종 조율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회동 의제를 두고 여야 간 이견이 있어 잡음이 빚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윤호중 민주당 사무총장은 “한국당이 국정 전반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 하는데, 국정 전반에 관한 사항을 의제로 올려야 할 일은 아닌 것 같다”며 “추가 협의를 해봐야 할 것 같다”고 전했다.

심우삼 김용현 기자 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