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보복 오래갈 수 있어… 지혜·결단 필요”

입력 2019-07-11 04:07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 경제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이낙연 국무총리가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이낙연 국무총리는 일본의 경제 보복과 관련해 “(우리 정부 대응이) 충분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보복이) 오래갈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양국 지도자들이 (갈등이) 장기화하지 않도록 지혜와 결단을 내려야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10일 국회에서 진행된 경제 분야 대정부 질문에는 일본의 수출 규제에 관한 내용이 주로 언급됐다. 이 총리는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후) 경제 보복의 방식이 나왔다는 것은 굉장히 유감”이라며 “지금 어려움이 있더라도 지난 세월 그대로 한·일 관계 개선 노력을 계속하겠다. 지금이라도 일본에 재고를 바란다”고 말했다.

대응책에 대해서는 “기업들이 피를 말려가면서 재고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굉장히 눈물이 날 정도의 노력을 하고 있다”며 “수입처 다변화, 국내 생산역량 확충, 국산화 촉진 등 중장기적으로는 부품 제조산업의 획기적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추가경정예산안에 경제 보복 대응을 위한 예산을 추가로 요청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 총리는 “1200억원 이상을 국회에 요청할 생각”이라며 “이것이야말로 큰 재난 아니겠나.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추경 통과를 도와주실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정부가 일본과의 경제전쟁까지 촉발하려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동의할 생각이 없다”며 “정말로 그렇게 생각하느냐”고 되물었다. 그러면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무역의 문제를 뛰어넘어 유엔 (대북) 제재 결의 위반처럼 말한 것은 대단히 위험한 발언”이라며 “수십년간 유지한 한·미·일 중심 안보협력 체제를 흔들 수도 있는 위험성을 내포한 발언이다. 신중해지길 바란다”고 했다. 또 “일본이 만약 추가 조치를 취한다면 어떤 분야일지 많은 가능성을 보고 나름대로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에 대해 “정책실장으로서 너무 많은 말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곽대훈 한국당 의원이 ‘김 실장이 일본의 경제 보복 관련 100개의 롱 리스트가 있다고 했는데 리스트를 알고 있느냐’고 물은 데 대한 답이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고용률이나 취업률은 역대 최고로 수치가 높다. 청년 고용률은 2017년 이후 가장 높다”고 하자 야당 의원들이 “거짓말하지 말라”고 소리치기도 했다. 홍 부총리는 “정부가 (고용 상황의) 어려움을 숨기는 것은 아니다. 제조업이나 30, 40대 일자리 문제는 심각하게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심희정 김용현 박재현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