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사진) 청와대 정책실장은 10일 “소재 부품 경쟁력을 높이는 데엔 중소·중견기업의 역할이 크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중소기업계 소통간담회에서 최근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와 관련해 “모든 부품 소재 장비 국산화는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지만, 우리가 부족했던 부분에 대해서는 자립도를 높일 수 있는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부와 대기업, 중소·중견기업이 협력해 우리 소재 부품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노력을 해 나갈 것”이라며 “대·중소기업이 협력해 연구·개발(R&D)을 진행하고 공급과 수요를 안정적으로 창출해 내야 한다는 데 확고하게 동의한다”고 강조했다.
대기업뿐만 아니라 일본으로 소재를 수출하는 중소기업도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박순황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금형은 일본 쪽으로 5억 달러 정도를 수출하는데 납기 경쟁력이 있기 때문이다. (추가 보복 조치로) 일본이 통관을 지연시키면 일본으로 수출하는 우리 중소기업도 피해를 보지 않겠느냐”며 대비책을 요구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 실장과 석종훈 중소벤처비서관이 참석했다. 중소기업계에서는 권혁홍 한국제지공업협동조합 이사장 등 중소기업중앙회 회장단을 비롯해 업종별 중소기업인 등 34명이 참석했다.
강주화 이택현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