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구축한 전자통관시스템은 2005년부터 카자흐스탄 에콰도르 몽골 에티오피아 등 13개국에 수출되고 있다. 한국형 전자조달시스템도 2010년부터 베트남, 코스타리카, 튀니지, 요르단 등 7개국 정부가 사용하고 있다.
이번에는 스마트시티가 수출된다. 행정안전부는 페루 내무부와 1500만 달러 규모의 시민안전 분야 스마트시티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MOU에는 기술 협력과 경험 공유은 물론 재원 확보부터 인프라 구축 및 운영까지 사업 추진단계 전반에 걸친 협력이 명시돼 있다.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세계적 모범 사례로 꼽히는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행안부, 주 페루 한국대사관, 코트라 등이 전자정부 수출을 위해 우리 기업들과 협업했다. 행안부가 페루에서 운영중인 전자정부협력센터에 따르면 페루 정부는 오는 2020년까지 총 약 7000만 달러 규모의 스마트시티 사업을 발주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한국은 이번 MOU를 계기로 향후 관련 사업 수주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게 됐다.
페루가 구축하려는 스마트시티 시범사업 모델은 지능형 CCTV 통합관제와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한 도시통합운영센터 및 통합운영 플랫폼으로, 치안이 중요한 사회 현안인 페루 현지의 특성을 반영해 방범 및 안전 분야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시범사업 대상인 수르코 지역은 페루의 수도 리마의 행정구역 중 하나로, 미국 대사관 등 다양한 주요 시설이 위치한 중요한 지역이다. 이번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여러 지역으로 서비스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이 개발한 통합운영 플랫폼은 치안분야뿐 아니라 교통, 환경, 시설물 관리 등 다양한 분야로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며 향후 지속적인 후속 사업 발굴도 기대된다. 행안부는 지난 2011년부터 지방자치단체 CCTV 통합관제센터 구축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지능형 관제 등 첨단 스마트시티 기술을 실제 적용해 발전시켜왔다.
한국의 전자정부는 국제사회에서 최상위권으로 평가받고 있다. 유엔은 2년마다 190여개 회원국 대상으로 전자정부 수준을 평가해 발표하는데 한국은 2010년, 2012년, 2014년 3회 연속 1위를 한데 이어 2016년과 2018년에는 3위에 올랐다. 한국은 전자정부 선도 국가 협의체인 D9의 창립 회원국이며 지난해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e-leaders 총회를 개최했다. 한국의 전자정부 수출 규모는 2017년 기준으로 약 2억3000만 달러에 이른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