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식수원 진안 용담호에 대규모 태양광시설 설치 논란

입력 2019-07-10 04:03
용담호. 연합뉴스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전북지역 주 식수원인 진안군 용담호에 대규모 수상 태양광발전시설 설치를 추진하자, 먹는 물에 대한 안전성 논란이 일고 있다. 수자원공사는 친환경제품 사용으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지역에서는 중금속 검출 등을 우려하고 있다.

9일 한국수자원공사와 진안군에 따르면 수자원공사는 진안군 백운면 용담댐 일원에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키로 하고 현재 전북지방환경청의 사전환경영향평가를 받고 있다.

해당 발전소 시설 용량은 20㎿급으로 연간 2만4026㎿/h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수자원공사는 이에 필요한 총사업비 576억원을 주민 참여 방식으로 공동 투자해 발전 수익을 나눌 계획이다. 다음 달 이후 주민 설명회 등을 거쳐 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앞서 수자원공사는 2017년 진안군과 주민참여형 용담댐 수상태양광 개발에 따른 협약을 맺고 협조체계를 구축했다. 당시 수자원공사측은 “친환경 에너지 생산과 지역 발전의 두 토끼를 잡을 기회가 될 것”이라며 “특히 주민이 참여하는 사업협의체를 구성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소득 증진에도 기여하는 지역 상생형 사업으로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상수원을 이용하는 전주 등지의 주민들은 수상 태양광 사업으로 먹는 물의 안전성이 위협받을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정치권에서도 광역 상수원에 발전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신중한 추진을 주문하고 나섰다. 민주평화당 김종회 의원(김제·부안)은 “햇빛이 잘 드는 저수지 대부분이 수상 태양광의 못자리가 될 판”이라며 “수상 태양광 설비의 중금속 검출과 수질 오염 우려를 제기하는 민원이 전국 각지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수상태양광이 설치된 호수는 경남 합천호와 충남 보령호 충북 충주호 등 세곳이다. 이들 호수의 물은 가뭄시 일부지역 식수로 활용하고 있지만 용담호는 매일 전주 익산 군산 김제 완주 진안은 물론 충남 논산까지 140만명이 넘는 주민들에게 식수를 공급한다. 더욱이 용담호의 수상 태양광 규모는 2011년 완공된 합천호(150㎾)의 30배나 된다. 수자원공사는 수상태양광발전소를 오는 2022년까지 전국 10여개 댐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논란이 커지자 수자원공사측은 설명 자료를 통해 “수도용 위생안전기준에 적합한 자재를 사용할 계획”이라며 “환경 문제가 없도록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