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시설 10곳 중 6곳 화재 안전 ‘빨간불’

입력 2019-07-09 04:05

우리나라 백화점 영화관 등 다중이용시설 10곳 가운데 6곳이 소방 당국의 화재안전 관리기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 진화와 이용객 대피 등에 매우 취약한 상태인 셈이다.

소방청은 화재 고위험군 건물 34만동을 점검한 결과 10곳 중 6곳이 화재안전 관리기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소방청의 ‘화재안전 특별조사’ 중간점검 결과이며 전체 화재 고위험군 건물 55만동을 대상으로 하는 최종 결과는 12월에 나온다.

화재안전 관리기준을 모두 통과한 업체는 11만9861동(35.2%)에 그쳤다. 반면 1개 이상 ‘관리 불량’이 적발된 곳은 19만9968동(58.8%)이나 됐다. 나머지 2만259동(6.0%)은 휴·폐업 등의 사정으로 아예 조사 대상에서 빠졌다. 조사 대상은 백화점과 영화관 등 다중이용시설, 거주지 주변의 근린생활시설, 공장 등 불이 났을 때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곳이다.

관리 불량업체들은 소방·건축·전기·가스 분야에서 모두 87만2607건의 규정을 어겼다. 중대위반사항인 소방시설 고장, 비상구 폐쇄, 방화구획 훼손, 가스배관 불량은 그나마 1만6401건(1.9%)에 그쳤다. 하지만 피난구 유도등 점등 불량, 가스배관 도색 불량, 주차장 물건적재 등 세밀한 영역에서 85만6206건(98.1%)을 위반했다.

소방청은 중대규정을 위반한 6182동에 행정명령 271건, 과태료 부과 553건, 입건 58건, 기관통보 5300건 처리했다. 나머지 위반 사항은 전문가 조언을 받아 개선하도록 했다.

소방청은 지난해부터 화재안전 백년대계를 수립하겠다며 이번 특별조사에 돌입했다. 과거 평가기준에 건축·전기 분야를 추가하는 등 화재안전 평가항목을 늘렸다. 안전관리 실태와 더불어 시설 사용자 특성, 소방관서와의 거리, 소방관서 대응활동사항 등도 함께 조사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건축·소방·전기·가스 분야 전문가와 조사보조요원인 합동조사반(798개반 2755명)이 주 업무를 맡았으며, 국민생활과 밀접한 시설을 조사할 때는 시민조사단도 참여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