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금융부문 보복해도 대처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

입력 2019-07-08 04:04

최종구(사진) 금융위원장이 올해 하반기에 설비투자, 구조조정, 신산업지원 등을 위해 17조원 규모의 ‘금융 프로그램’을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미·중 무역전쟁과 신흥국 금융불안 등 대외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일본의 경제보복과 관련해서는 “대처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금융 당국은 일본이 금융시장에서 자금을 걷어들이는 최악 상황을 가정하고 대응책도 마련하고 있다.

최 위원장은 지난 5일 취임 2주년을 맞아 서울 광화문의 한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하반기 금융정책 방향을 설명했다. 그는 “설비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하반기에 17조원 규모의 금융지원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사업구조 고도화(3조원), 친환경·안전투자(2조3000억원) 등 기존에 하고 있던 프로그램은 더 신속하게 진행한다.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같은 신산업분야(5조원)에는 자금을 추가 공급한다. 산업은행이 시중은행을 통해 중소기업에 자금을 대출해주는 ‘특별 온렌딩(On-Lending)’에도 1조원을 더 넣기로 했다. 또 최 위원장은 “혁신을 가로막는 인식·관행·문화는 보이지 않는 ‘말뚝’”이라고 꼬집었다. 변화를 장려하고, 실패를 용인하는 문화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뜻이다. 핀테크 기업 투자가 활발해지도록 맞춤형 규제개혁안을 내놔 각종 규제로 막혀있던 ‘숨통’을 트이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 위원장은 최근 일본의 경제보복이 국내 금융업계에 미칠 영향을 묻는 질문엔 “제한적”이라고 대답했다. 그는 “일본계 은행이 국내 기업에 롤오버(Roll-Over·채무 상환 만기 연장)나 신규 대출을 안 해줄 수도 있다”면서도 “그렇게 된다 하더라도 대처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7일 금융감독원과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일본의 주요 4개 은행(미쓰비시파이낸셜·미쓰이스미모토·미즈호·야마구치)의 국내 총여신은 18조2995억원으로 지난해 9월 말(21조817억원)보다 2조7822억원 줄었다. 일본의 보복 기조가 이어지면 자금을 빠르게 회수할 수도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최 위원장은 “자체적으로 최대한 점검을 해놓은 상태고, 금융기관들이 모여서 지속적으로 회의를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지웅 기자 wo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