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이란이 핵무기 개발의 신호탄 격인 우라늄 농축도 상향 조치에 들어가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조심하라, 이란”이라며 직접 경고 메시지를 날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하산 로하니 대통령이 방금 새로운 핵 합의가 없다면 그들이 원하는 양만큼 우라늄을 농축할 것이라고 했다”며 “당신의 위협은 고스란히 자신에게 돌아와 아무도 물려본 적 없는 강도로 이란을 물 것”이라고 말했다. 이란이 야기하고 있는 핵 위협이 결국 이란에 불이익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로하니 대통령이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에서 제한한 우라늄 농축도 상한선을 더이상 지키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로하니 대통령은 내각회의에서 “오는 7일부터 우라늄 농축도는 상한선인 3.67%에 머무르지 않을 것이다. 우리가 원하는 만큼 농축도를 상향하겠다”고 말했다. 2015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재임 시절 국제사회와 맺은 핵 합의를 파기하겠다고 선언한 셈이다. 그는 또 “유럽이 본 일정대로 핵 합의의 의무(이란과의 교역·금융거래)를 지키지 않는다면 아라크 중수로도 핵 합의 이전 상태로 되돌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로하니 대통령의 선언으로 이란 핵 위기가 핵 합의 타결 4년 만에 다시 중동 최대 현안으로 떠올랐다. 중동 정세는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이 급작스럽게 핵 합의 탈퇴를 선언하면서 소용돌이에 휘말렸다. 2015년 핵 합의에 따라 미국과 유럽연합(EU)은 대(對)이란 경제 제재를 해제했고, 이란도 핵 개발을 중단해왔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이 협정에 이란 탄도미사일 폐기 조항이 없고, 15년의 일몰기간이 지나면 이란의 핵 개발을 막을 수 없다며 탈퇴를 선언하고 이란에 대한 경제 제재를 재개하면서 양국의 갈등이 본격화됐다.
미국이 지난 5월 걸프 해역에 항공모함 전단과 폭격기 편대를 배치하며 군사적 긴장도 고조되고 있다. 지난달 20일 이란이 영공을 침범했다며 호르무즈 해협 인근에서 미 무인정찰기를 격추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보복 공격을 승인했다가 취소했다.
미 워싱턴포스트(WP)는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공개 및 비공개 의회 증언에서 ‘이란 정부가 테러조직 알카에다와 연결돼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이란 공격의 명분을 찾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대통령에겐 테러조직의 경우 의회 동의 없이 직접 전쟁을 선포할 수 있는 ‘무력사용권’이 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