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36시간 미만 임시·단기근로 일자리 2년 새 100만개 증가

입력 2019-07-05 04:02
사진=연합뉴스TV 제공

주36시간 미만 임시·단기근로 일자리가 2년 새 100만개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쪼개기, 단기 알바 등이 늘어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박기성 성신여대 교수에게 의뢰한 ‘근로시간을 고려한 취업자 수 분석’ 보고서에서 2017~2019년 주36시간 이상 일하는 취업자 수는 71만5000명 감소한 반면 주36시간 미만으로 일하는 취업자는 100만5000명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정부는 2년간 취업자 수가 2699만2000명에서 2732만2000명으로 33만명 증가했다고 집계했다. 하지만 주36시간 이상 일자리 기준 환산 취업자 수는 같은 기간 2509만1000명에서 2488만4000명으로 20만7000명 감소했다. 통계청이 발표하는 경제활동인구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36시간 일한 취업자를 1명으로, 주9시간 일한 취업자는 4분의 1명으로 간주해 환산한 것이다. 주36시간 이상 일자리를 기준으로 보면 정부 통계와 달리 취업자 수가 오히려 감소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두 통계 간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주36시간 미만의 단기근로 취업자가 주로 증가한 탓으로 분석된다. 박 교수는 “단기 일자리 촉진,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의 영향으로 인해 주36시간 이상 근무할 수 있는 일자리가 단시간 근로로 대체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정부가 일자리 지표를 주36시간 근로를 기준으로 산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환산방식에 따르면 취업자 수가 줄어든 20~40대에선 감소폭이 훨씬 크게 나타난다. 20대 이하에서 정부가 집계한 공식 취업자는 4만8000명 감소했으나 주36시간 일자리로 환산하면 10만8000명 줄었다. 30~40대의 경우 공식 취업자 수는 37만명 줄었지만 주36시간 환산 취업자 수는 52만7000명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어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공무원),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을 제외한 민간산업 분야의 주36시간 환산 취업자 수는 2019년 2079만8000명으로 2017년 2120만4000명에 비해 40만6000명 감소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